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금속과 산소의 결합 단단한 스마트 세상 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이 원소들이 결합을 하면 이온 결합을 이루는 매우 단단한 산화물이 된다. 이와 동시에
실리콘
반도체가 구현하지 못하는 새로운 성질을 갖게 된다. 이를 다양한 소자에 적용하면 미래 반도체나 에너지 절감 소자에 쓰일만 한 획기적 성능을 보이는 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 손준우 포스텍 ... ...
임산부들의 걱정 조산, 전기자극 방식 새 치료법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억제하는 전자약 기능을 하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의 모습이다.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개발돼 자궁경부에 끼워진 상태로 신경 자극을 읽고 신경에 전기자극을 줄 수 있다. KIST 제공 연구팀은 동물 전임상으로 기기 자궁 수축 감지와 억제 모두 가능함을 확인했다. 쥐에게 장착하고 ... ...
배터리 필요 없고 더 민감한 자외선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자외선 노출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자외선 감지센서는 산화물세라믹이나
실리콘
을 주로 쓴다. 고온에서 진공증착 공정을 거쳐 얇은 박막을 만들어야 센서로 활용 가능하다. 산화나 열에 망가지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막도 필요한데 막이 센서 감도를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센서 유지에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
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기존 광센서 공정에 비해 제조 또한 간단하다. 이 교수는 “기존 광센서들은
실리콘
에 광 반응기를 넣고 고온 공정을 거쳐야 한다”며 “소재도 비싼 걸 사용해야 하는데, 개발한 광센서는 이런 공정이 전부 빠지게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동작속도가 느린 점이 단점이다. 상용화 ... ...
[잠깐과학] 물질 비밀 푸는 거대 핵물리 장비들이 온다
2020.12.26
2~3년 뒤 완공해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가속기에서 입자를 검출할 때 사용하는 ‘
실리콘
검출기’를 실험하기 위해 필자(왼쪽에서 두번째)가 동료 연구원들과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를 찾은 모습. 임상훈 제공 ※필자소개 임상훈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고에너지 핵물리학을 ... ...
수분·고온에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개발
연합뉴스
l
2020.12.24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솔-젤' 합성공정을 통해 실록세인 분자(
실리콘
기반 고분자)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를 한꺼번에 감쌀 수 있는 캡슐 형태의 복합체 수지를 개발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열에 강한 실록세인 분자 구조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를 ... ...
[프리미엄 리포트]3D프린터로 찍어낸 가짜알로 바다거북 알 밀렵꾼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12.19
추적이 가능하다. 진짜 알과 무게를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 가짜 알 내부의 빈 공간은
실리콘
고무로 채웠다. 연구팀은 가짜 알이 진짜 알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doi: 10.1016/j.cub.2020.08.065 일러스트 하루치 연구팀은 GPS-GSM 송신기를 넣은 가짜 알을 코스타리카 ... ...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위해 이온 광선을 쪼아 세포 일부를 잘라냈다. 광선은 세포뿐 아니라 세포가 놓인
실리콘
기판 표면에 삼각형 모양 흔적을 남겼다. 이온빔 밀링이라는 기술을 통해 연구자들은 암세포 내부를 세부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됐다. 카렌 크로포드 제공 이 오징어들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두 투명하다. ... ...
복잡한 반도체 공정, 빛으로 간단하게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크기가 수 나노미터인 원자를 한 겹으로 배열해 만든 반도체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잘 휘면서 단단해 얇고 유연한 전자기기, 극초소형 컴퓨터를 만들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다. 순수한 반도체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아 구성 원자 일부를 바꾸는 ‘도핑’ ... ...
물질 근원 밝힐 장치 '앨리스' 부품 국내서 양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가 필요하다. 기존에 앨리스에 쓰였던
실리콘
센서는 해상도가 낮아 쿼크가 붕괴하는 순간을 포착할 수 없었다. 권 교수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알피드는 고온에 견디면서 화소 수가 기존 센서보다 10배 많고 데이터도 100배 많이 수집한다. 권 교수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