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뉴스
"
추측
"(으)로 총 1,19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번데기 우유'로 공동육아하는 개미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2.12.17
영양물질을 섭취하면서 신진대사나 생리활동에 특정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
했다. 같은 '밥'을 먹고 자라면서 체질이 비슷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 ...
제임스웹, 지구 닮은 7개 행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등 더 무거운 분자로 밀도 높은 대기를 가지고 있거나 아예 대기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추측
된다"고 밝혔다. 다만 베네케 교수는 학술지에 낸 논문을 검토 중이라는 이유로 자세한 관측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다. JWST는 별빛이 행성에 닿을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포착해 대기의 성분을 파악한다. ... ...
운동화를 입에 문 운전자
팝뉴스
l
2022.12.09
운전자는 운동화를 입에 물고 차를 몰고 있다. 왜 저런 불편하고 괴상한 일을 벌이게 된 것일까. 이유
추측
이 쉽지 않아서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은 사진에 더욱 오래 머물렀다 ... ...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놀랐다...정수론 난제 해결한 고3
수학동아
l
2022.12.03
사이에 소수가 무조건 존재한다는 ‘베르트랑 가설’이 카마이클 수에도 적용될 거라고
추측
했습니다. 2016년 메이나드 교수는 소수의 분포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라슨은 여기에 나온 방법을 활용해 자연수 X가 충분히 클 때 X와 2X 사이에 카마이클 수가 항상 존재하며, 최소 몇 개가 있는지 알 수 ... ...
[프리미엄리포트]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12.03
자기장에 에너지가 응축돼 있다가 폭발했고 이 에너지의 전파를 저희가 관측했다고
추측
하는데,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충분히 다른 블랙홀에도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거든요. 그전까지는 몰랐기에 2, 3년 뒤에 조석교란현상을 다시 들여다볼 생각을 못했던 게 아닐까 싶어요." Q. 후속 연구는 ... ...
인간을 원숭이와 구분케 하는 특정 뇌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될 수 있다. 소사 교수는 “각 세포들이 뇌의 발달에서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추측
하고, 다른 세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등을 확인하면 질환을 앓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주 정밀한 ‘뇌 세포 카탈로그’를 만든 이 연구는 전전두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우주 어딘가에는 지구와 반대의 거울상 분자로 이뤄진 세계가 있을 수도 있다고
추측
했다. 생명의 기원을 열역학의 관점에서 보면 거울상 가운데 하나를 택하는 건 순전히 우연이기 때문이다. 1848년 루이 파스퇴르는 포도에 존재하는 분자 타타르산 용액이 빛의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반면 ... ...
‘기자가 뽑은 올해 과학자상’에 고정환·정수종·허준이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따른 식생의 변화를 연구했다. 허준이 교수는 수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조합론의 리드
추측
을 도형을 연구하는 대수기하학 방법으로 해결해 수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과학기자상에 선정된 강찬수 환경전문기자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는 각각 환경의 중요성을 ... ...
문어는 화가 나면 상대에게 조개껍데기를 던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물건을 던지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쉽지 않지만 사회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측
했다. 타마르 거트닉 이탈리아 나폴리페데리코2세 박사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동물들의 사회활동에 대한 탐구를 위한 새로운 문을 열었다"고 평가하며 "특정 문어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개체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있어 빛을 감지해 그 정보를 뇌의 시각피질이 아니라 일주리듬 조절영역으로 보낸다고
추측
했다. 그 결과 유전자 결함으로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없어 보지 못하는 생쥐도 여전히 낮에 자고 밤에 돌아다니는 야행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1991년 논문이 나왔을 때는 주류 학계가 무시했지만, 그 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