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표현
표지
조짐
제시
표명
암시
뉴스
"
표시
"(으)로 총 1,44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서 지진 위험 가장 적은 지역으로 분류된 제주도, 재평가 들어가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현재까지 활동한 지진을 활성단층으로 정의하고 마지막 활동 시기별로 네 그룹으로 묶어
표시
하기로 했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학과 교수는 “최근 움직인 단층을 알아내 지진위험도를 파악하고 발생 가능성이 큰 곳에는 원자력발전소나 화학 공장 같은 위험시설을 제한하기 위해 ... ...
제주 해역 4.9 규모 지진 발생...여진 1년 갈 수도(재종합)
2021.12.15
14일 오후 5시 19분 14초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km 해역(별
표시
)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기상청 제공 14일 오후 5시 19분 경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 해역에서 리히터 규모 4.9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이 계기지진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래로 역대 11번째, 제주 해역에서는 ... ...
제주 인근서 규모 4.9 지진 전남북까지 '흔들'…"규모 3 여진 가능성"(종합)
2021.12.14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65회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기도 하다. 14일 발생한 지진(별
표시
)의 규모는 4.9로, 기상청에서 본격적인 계기지진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주변 50km 반경 내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제공.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새로운 기능을 획득하며 현지 기후에 적응한 결과다. 각 생태형의 분포 범위를 색으로
표시
했다. 네이처 제공 지난 2월 ‘네이처’에는 스위치그래스의 고품질 게놈을 해독한 결과가 실렸다. 스위치그래스 게놈 역시 기장처럼 이질사배체이지만 기장과는 달리 이배체 조상 가운데 하나는 직계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1200일이면 북태평양 뒤덮는다…中 연구팀 시뮬레이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L당 0.00029Bq 수준이다. 그림 C는 세제곱미터당 0.29Bq 이상의 삼중수소가 들어차는 지역을
표시
했다. 한국은 1200일 이후 남쪽 지역에서 세제곱미터당 0.29Bq의 농도가 확인된다. d는 미야자키와 상하이, 샌디에이고의 확산 농도를 분석한 것으로 샌디에이고의 삼중수소 농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 ...
북한 폭염·열대야 늘고 한파 줄었다…기후변화로 온도 0.4도 상승
동아사이언스
l
2021.11.30
강수량이 늘었다. 북한의 신 기후평년값과 기존 기후평년값 사이 차이를 지도에
표시
했다. 평균기온은 오른 반면 강수량은 내륙은 줄고 동쪽과 함경남북도는 늘어났다. 기상청 제공 연평균기온은 북쪽으로 갈수록, 내륙과 산지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연평균기온이 가장 높은곳은 동해안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울음은 도움 요청계의 만능키
2021.11.27
다물고 있지만 어깨를 들썩이며 웃는다든지). 즉, 알게 모르게 우리는 감정을 '상태 알림
표시
' 같은 용도로 사용하곤 한다. 여기에 울음에는 다소 특수한 기능이 있다. 예컨대 어린 아이가 소리를 내어 우는 것은 무엇이 필요하다든가 지금 상태가 불편하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다. 날카롭게 우는 ... ...
[우리말 사각지대](하) 방역정보 이해 부족 결국 감염 위험에 노출된다
2021.11.23
15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비슷하다. 이 조사에서더 참가자들에게 한국어로
표시
된 코로나19 관련 방역 정보나 지침에 대한 이해도를 물은 결과, 5점 만점 평균 3.48점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대 연구팀 보고서에서는 독특한 부분이 발견됐다. 설문 참가자들에게 코로나19의 ... ...
[우리말 사각지대](상) 이주노동자에겐 또다른 차별이 된 '방역용어'
2021.11.17
15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설문 참가자들에게 한국어로
표시
된 코로나19 관련 방역 정보나 지침에 대한 이해도를 물은 결과, 5점 만점 평균 3.48점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인들보다 방역 정보나 지침을 70% 수준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으로 ... ...
19세기말 한양 도성엔 범 거닐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아무르표범은 과거 한반도에 주로 서식했던 표범의 아종이다. 과거 호랑이와 함께 '범'이라 통칭해서 부르기도 했다. 현재는 러시아와 중국 국경 부근에 서식하며 ... 1890년대 제작된 서울 한양도성 지도다. 당시 표범이 목격된 지역을 빨간색 영역으로
표시
했다. 보존과학프론티어 제공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