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용
"(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뤄졌다고 믿고 있었다.그런데 정신과 육체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면 이 둘이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바로 데카르트를 필두로 많은 철학자들이 고민해온 정신과 육체의 문제(mind-body problem)다.쉽게 설명하자면 비가 내리는 날 외출하려는 사람이 비가 내리는 것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못했다. 그런데도 러더퍼드가 화학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은 아레니우스의 입김이 크게
작용
했던 것 같다.또 러더퍼드에 이은 1909년 빌헬름 오스트발트(Wilhelm Ostwald, 1853-1932)의 수상을 워스트3의 마지막으로 선택했다. 오스트발트는 물질 분자의 원자구조설을 반대하던 대표적인 학자였다. 비록 ... ...
문화재의 영생 과학으로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동원된다. X선 장치에서 발생한 강력한 X선(1차 X선)을 물질에 쪼이면 X선과 물질 간 상호
작용
이 생기게 되는데, 여기서 형광X선이라고 불리는 2차 X선이 발생한다. 이 형광X선은 유물 재질을 구성하는 각 원소에 따라 고유의 파장을 발산한다. 형광X선 분석법이란 2차적으로 발생하는 X선의 파장과 ... ...
버려진 CD로 만든 호버크래프트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통해 바퀴의 축과 연결돼 있다. 이 원형판은 일정한 회전이 이뤄진 이후에는 외부의 힘이
작용
하지 않는 한, 회전축 주위를 계속해서 회전하려고 한다. 이처럼 회전하고 있는 물체의 운동을 변화시키려는데 저항하는 회전물체의 성질을 회전관성이라고 한다.여기에서 만든 CD 장난감도 회전관성과 ...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나오자 ‘중국에는 과학이 없었다’는 서양인의 통념을 깨트리는 엄청난 지적 충격으로
작용
했다.한편, 니덤의 저술이 너무나 방대해 일반 독자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케임브리지대 교수인 로난(Colin A. Ronan)이 원 저자의 자문과 협력을 받으면서 그 내용을 간추려 축약해 1978년 이후 ‘The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20세기의 마이크론 디바이스를 대체할 21세기 나노 디바이스 제작에는 SPM의 역할이 지대하다. 반대로 새로운 나노 디바이스는 SPM의 기능향상에 도 ... 나노 디바이스는 다시 새로운 SPM의 기술을 탄생시킨다. SPM과 나노 디바이스의 상호상승
작용
은 나노과학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아닌, 인간을 닮아가는 기계인 로봇을 꿈꾼다. 로봇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과의 상호
작용
이 가능한 감정을 가진 기계일 것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우리는 한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감정을 느끼기 위해선 감정을 느끼는 주체인 자아가 선행돼야 한다. 과연 우리는 자아를 가진 피조물에 대해 책임을 ... ...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때문에 천문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특히 이번 중력렌즈는 어떻게 은하가 서로
작용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정보도 함께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그런데 원자간 힘은 탐침이 시료와 비교적 가까운데서 크게
작용
하지만, 자기력은 상대적으로 먼 곳까지 미친다. 따라서 표면 윤곽을 얻을 때보다 탐침과 시료 사이의 거리를 떨어뜨려 측정하면 자기력에 의한 캔틸레버의 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면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힘은 2백50pN. SPM이 아니면 이 미약한 힘을 측정하기 어렵다. 앞으로 SPM은 단백질 내의 상호
작용
을 푸는 열쇠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DNA나 단백질과 같이 앞으로 우리가 풀어야 할 생명 과학 문제는 참으로 방대하다. 이 과정에서 SPM을 비롯한 나노과학이 생명과학의 문제를 푸는 제1도구가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