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549건 검색되었습니다.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염분차발전 설비와 그에 필요한 기술을 표현한 모식도.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닷물과 민물의 염분 농도 차이를 이용한 친환경 발 ... “2020년까지 염분차발전으로 전기자동차용 전력을 공급하는 실증 시험을 진행한 뒤 2025년께
상용
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안정성 역시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사물인터넷
상용
화이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공간의 확보”라며 “일상생활에서 입는 옷이나 사용하는 자재들의 큰 모양 변화 없이도 배터리를 표면에 자연스럽게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30~40배 줄었기 때문이다. 양 연구위원은 “반도체
상용
화를 위해서는 현재 1㎠ 수준인 MoTe2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런던∼뉴욕 1시간… 초음속 여객기 만든다
동아일보
l
2015.08.06
있는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2’와 관련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4일 보도했다. 콩코드2가
상용
화되면 런던에서 뉴욕까지 거리 5585km를 1시간 만에 돌파할 수 있다. 현재 항공기로는 약 7시간이 걸린다. 콩코드2의 엔진은 제트 엔진과 로켓 모터를 결합해 만들어 강한 추진력을 지녔다. 항공기는 거의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동일한 사물을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박 연구원은 “콘텐츠만 있으면 당장
상용
화가 가능한 수준”이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속 사물을 만질 때 촉감까지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장치는 국내 특허와 미국 특허를 취득한 상태다. ... ...
미래형 ‘전기비행기’ 시제품 나왔다
2015.08.03
밝혔다. NASA는 이번 대회 출품작을 기본으로 실제 전기비행기를 개발하고 2020년까지
상용
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학부 2위를 처자한 ‘아레이온(Areion)’.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학부 3위에 오른 ‘The EG-A BeamTree PH-10 Aircraft’.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가작으로 뽑힌 ‘SCUBA Stingray’. - ... ...
30분 안에 인플루엔자 확진 진단기 개발
2015.07.31
바꾸는 방식으로 최대 한 달 안에 진단기를 만들 수 있다”면서 “하반기에는 제품
상용
화를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진단시약(왼쪽)과 진단기기 시제품 그래픽. - 경북대 제공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3호를 발사해 위성인 광명성 3호를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한 이후로 외국 인공위성의
상용
발사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최근 평양에 위성관제종합지휘소를 건설했고 위성 조립 점검동의 조립탑도 10m 가량 높였다. IT 분야 역시 2000년대부터 집중적으로 인재를 키우고 있다. 외화벌이 목적으로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면적을 넓히기 위해 그래핀을 3차원으로 제작해 음량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했지만 아직
상용
화에는 부족한 수준”이라면서 “그래핀 스피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면 방의 모양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까지 인식하는 지능형 오디오 기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핀 스피커와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
2015.07.20
“반도체의 크기와 상관 없이 적용 가능한 기술로 대량 생산 문제를 해결하면 2~3년 안에
상용
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과학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6월 2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