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름이 붙었다.박사는 교코의 아들에게 ‘루트’라는 별명을 붙여준다. 그의 머리
모양
이 제곱근 기호인 루트 √와 같이 평평하기 때문이다. 모든 수를 품는 제곱근의 관대함과 공평함을 닮으라는 박사의 바람이 담겨 있기도 하다. 박사는 루트가 수학 문제 푸는 것을 도와주고 수학 이야기를 ... ...
식물부대 사령관 ‘꼬치라 부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마지막 문제다. 식물은 자손을 번식시키기 위해서 씨앗을 멀리 보내지. 털이나 날개
모양
의 구조를 이용해서 말이야. 그래서….”마지막 문제는 씨앗 날리기다. 종이 한 장을 이용해서 헬리콥터처럼 빙빙 도는 비행기를 만들어 보자.꽃이 가득한 나라~!“하하, 썰렁홈즈 덕분에 지구를 살릴 수 있게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일어나며 진행되어야할 파는 이 경우 상하 운동을 못하고 물이 쏠려 마루가 뾰족한
모양
으로 만들어진다. 천해파로 진행되던 파도는 수심이 점점 얕아져 파고가 수심보다 커질 경우 부서지면서 쇄파가 된다. 하얀 거품을 내며 부서지는 바로 그 현상이다. 이 때 해저면의 경사가 가파르면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및 인터페이스’ 지 6월호에 발표했다.풀리켈 교수팀은 고분자 탄소 재료를 이용해 튜브
모양
의 재료(탄소나노튜브)를 만들었다. 이 탄소나노튜브는 튜브 안에 또다른 튜브가 있는 형태였다. 이 튜브는 물을 밀어내는 성질(소수성)이 있는데, 이런 튜브 여러 개를 마치 땅에 나무를 심듯 세로로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런 ‘노화’가 없었던 걸까. 그리고 왜 하필 물이 흐르거나 소용돌이가 치는 듯한
모양
인지도 수수께끼다. 두 번째 수수께끼는 이 지역에서 자기장이 검출된다는 사실이다. 원래 달은 지구와 달리 자기장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막상 달에 탐사선이 가 관측을 해보니 예외가 있었다. ... ...
애벌레의 화려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계속 녹색이랍니다. 작다고 얕보지 마!호랑나비 애벌레를 손으로 건드려 보면 Y자
모양
의 노란 뿔이 나와요. 이 뿔은 ‘취각’으로 머리와 앞가슴 사이에 있답니다. 천적을 만나거나 위험한 상황이 되면 아주 고약한 냄새가 나는 취각을 내밀어 위협하죠. 취각의 냄새를 맡아 본 동물들은 두 번 다시 ...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발견된 운석은 대부분 석질운석인데, 이 중 우주에서 녹아 있었던 물질이 둥근 물방울
모양
으로 굳은 ‘콘드률 구조’가 보이는 것이 연구 가치가 높답니다. 철질운석에는 ‘비드만스태튼 무늬’라고 부르는 빗살무늬가 남아 있기도 해요. 우주에는 지구와 달리 철을 산화시킬 공기가 없기 때문에 ... ...
[수학뉴스] 비누막에서 찾은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입자의 이동 속도가 지수함수꼴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곡면의
모양
에 따라 비누막이 터지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는 복잡한 방정식을 얻었다.연구팀을 이끈 골드스타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태양에서 플레어★의 발생 위치를 예측하거나, 난류에서 열이나 물질이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1%에 불과해 탐사선이 착륙할 때 속도를 줄이기가 쉽지 않다. LDSD는 원반 둘레에 풍선
모양
의 방열판이 숨어있는데, 화성대기권에 진입할 때 에어백처럼 공기가 꽉 들어차면서 부풀어 오른다.방열판 풍선은 우주개발 초창기부터 나왔던 아이디어다. NASA는 과거 바이킹 프로젝트 등에 사용하려고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뤄졌다. 그런데 은빛 돔을 보더니 어린이 같이 좋아한다. “멀리서 봤는데 천문대
모양
의 돔이어서 참 좋다 생각했는데 이게 진짜 천문대라니”라며 얼굴에 웃음꽃이 핀다. “서울 도심에서 별 몇 개나 보겠냐며 비아냥대는 사람도 있다”했더니 “그건 말도 안 된다”고 단호하게 반박한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