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아리스타르쿠스가 저술한 '태양과 달의 크기와 거리'는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그는 이
책
에서 반달일 때 태양 달 지구가 (그림1)과 같은 직각 삼각형을 만든다고 가정했다. 즉 달은 태양빛을 반사해 우리에게 보이는 것이므로 지구에서 정확히 반달로 보일 때는 지구와 달을 잇는 선분 OM과 달과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초창기 로켓 개발에 참여했고 후에 독일에서 미국으로 V-2 로켓기술을 가져올 때
책
임자로 있었던 전학삼박사가 중국 로켓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전학삼 박사가 주축이 된 중국은 1960년경에 V-2 로켓과 비슷한 형태의 로켓 발사에 성공하고 1970년 4월에는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동방홍 1호를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뒷받침이 필요하고, 늦어질수록 비용은 더 늘어나게 되겠지요. 경제성장 우위의 정
책
이 자연파괴를 불렀다면, 어느 만큼 성장도 이루어지고 자연파괴의 영향에 대한 경각심도 얻은 이제는 자연을 '보호하면서 개발'하는 데 힘써야 합니다.이재범―돌아가셔서 탐조회 등을 결성할 때 한가지에 ... ...
지진관측시설 이용, 핵실험 감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그레고리 반 데르빙크(Gregory E. van der Vink)와 제프리 파크(Jeffrey Park)는 이
책
에 기고한 '정
책
포럼'에서 핵무기 확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최근 지진관측기술의 발달로 지진관측소와 핵실험감시소 간의 구분이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됐으며 상호간 협력과 비용절감이 가능하다"고 주장.미국 프랑스 ... ...
PART.2 학습·오락용 특선 21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찾거나 각 영어 단어를 선택하면 그 단어를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 일종의 말하는 영어
책
이다. 문장을 처음부터 들을 수 있으며, 아니면 일부분만을 골라서 들을 수도 있다.● 장르 : 어드벤처● 가격 : 3만 5천원브레인 박사의 섬시에라 온라인의 디스커버리 시리즈 가운데 하나로 '브레인 박사의 성' ... ...
CD·LD의 작동원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우리의 감각 기관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해독(decoding)하는 장치를 갖고 있어야 한다.
책
은 특별한 해독기는 필요 없지만 언어에 관한 교육을 받아야 하므로 시일이 오래 걸린다. 전파는 무전기가, 필름은 영사기가 있어야 해독이 가능하다.사람은 다섯가지의 감각을 통해 신체 외부 세계와 ... ...
액정화면으로 읽는 '디지털 북' 등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지만 한번 읽으면
책
장구석에 처박히거나 쓰레기통으로 들어가는 것도 적지 않다. 만화
책
의 경우는 말할 나위도 없다. 조만간 서점의 신간안내코너 구석에 디지털북 용 코너가 등장할지도 모를 일이다 ... ...
PART.2 쓸만한 타이틀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영화나 비디오가 갖는 영상이 결합되고 여기에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적 측면이 가미되면
책
도 아니고 영화도 아닌 소위 '가상현실'과 같은 시뮬레이션 영역이 CD-ROM 타이틀의 독자영역으로 구축될 수도 있을 것이다.마지막으로 국내에서 CD-ROM 타이틀을 판매하는 곳 몇군데를 소개하겠다. 우선 IBM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어떤 법칙이 있을까?빨강머리 앤은 왜 주근깨가 많은가?여러분은 '빨강머리 앤'이라는
책
을 읽어보았을 것이다. 이 소녀의 얼굴에는 주근깨가 매우 많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 색깔이 붉은 사람에게 주근깨가 많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이것이 바로 유전자의 '연관' 현상이다. 즉 빨강머리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전공학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마침내 설계도인 유전자를 염색체 속에서 끄집어내
책
을 읽듯이 읽어낼 수 있게 됐다.유전공학적인 방법을 통해 각 개체의 전체 유전자를 조사해 보면 개체마다 특이한 막대 모양의 신호 체계(bar code)가 드러난다. 개체마다 특이하나, 친족 관계가 가까울수록 서로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