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리고 완성된 종이비행기를 들고 국립부산과학관의 넓은 강의실로 이동해 두 명씩 짝을 지어 비행기를 날렸지요. 세게 던졌지만 바닥에 그대로 고꾸라친 비행기도 있었고, 밀듯이 세게 던지자 멀리까지 활공한 비행기도 있었어요.20개의 비행기 중 가장 멀리 날아간 건 김강현 학생의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성공확률이 얼마인지까지 철저히 계산하는게 과학자들이다.이것은 각광을 받는 한두 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지루한 계산을 끝도 없이 하고 막대한 자료를 질리도록 해석한 학자들, 기기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수없는 반복실험을 한 엔지니어들이 뒤에 있었다. 과학과 합리성의 영역은 ... ...
- [과학뉴스] 우울증·흡연중독은 네안데르탈인 탓?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카프라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에서 건너온 유전자들이 “과거엔 유리했던 형질”이라고 설명했다. 한 예로 혈액을 빨리 응고시키는 유전자는 상처의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심장마비나 폐 색전증을 유발해 오늘날에는 득보다 실이 많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쏟아져 나올까. 이제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빙글빙글 돌면서 떨어지거나 나선형 궤적을 그리기 때문에 사드가 이를 정확하게 조준해 명중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또, 사드가 노동미사일을 요격하려면 고도 105km 이상에 있을 때 요격미사일을 발사해야 하는데, 이 고도에서는 기만탄(교란을 위해 진짜와 함께 쏘는 가짜탄)을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DNA가 같은 사람이 많다는 점이 문제였다. 어떤 유전자의 경우 7000명 가운데 700명이 같은 유형을 지니고 있을 정도였다.2011년 10월, 진 박사가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로 유형을 나누고 전사 지역 별로 재분류해 700명 정도의 유해를 추렸다. 이 유해로부터 핵 DNA를 추출해 신원을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림은 공식 대국의 두 번째 판으로 알파고가 흑이다. 이 바둑은 백(판 후이)이 초반에 일명 ‘큰 눈사태’ 정석 진행 과정에서 불리한 진행을 택한 데다, 무리수인 백62가 흑65에 끊겨 백 석 점이 잡힌, 흑(알파고)이 아주 우세한 국면이다. 백은 중앙에 최대한 모양을 키우는 것으로 승부를 걸 수밖에 ... ...
- [Tech & Fun] 좀비 아이들도 채소가 맛있대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데 미각교육이 효과가 좋은 것을 보고 시작하게 됐다”면서 “우리 마을에서 매년 250명의 어린이들이 미각교육을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좋은 요리는 사랑이다 미각교육은 식습관만 바로잡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혀로 음식의 맛을 제대로 느끼는 능력을 키우고, 좋은 음식을 통해 사람들과 더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역할을 한다. 공황장애 환149자들은 뇌간이 정상인보다 민감해 약간의 변화에도 생명에 위협을 느낀다. 흔히 공황장애 환자들이 ‘죽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얘기하는 것이 이런 이유다. 실험에 참가한 우어바흐-위데병 질환자도 편도체는 마비됐지만 신체가 호흡의 위험을 감지하고 뇌간이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람들에게 뿌리 깊게 각인돼 있다. 이에 안 교수는 “연간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만 5000명 가량”이라며 “원자력공학으로 인한 사망자는 훨씬 적다. 원자력공학이 인류에 덜 해로운 셈”이라고 말했다. 또한 후쿠시마의 원자로인 비등수형원자로 (BWR)와 달리, 우리나라는 안전성이 더 좋은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