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울증·흡연중독은 네안데르탈인 탓?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카프라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에서 건너온 유전자들이 “과거엔 유리했던 형질”이라고 설명했다. 한 예로 혈액을 빨리 응고시키는 유전자는 상처의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심장마비나 폐 색전증을 유발해 오늘날에는 득보다 실이 많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거, 괴로웠던 거, 열 받았던 거를 막토해내는 거예요. 일종의 치유의 장이었죠.” 그의 설명대로라면, 한국인은 평소 웃거나 우는 등 감정표현을 자제당하며 살다가 마당놀이나 초상집처럼 웃고 우는 게 허용된 장에서는 그간 쌓였던 감정들을 극대화해서 쏟아낸다는 얘기였다.이 소장은 결국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변이인데, 이 변이의 형태에 따라 각 맛을 느끼는 민감도가 달라져.유럽계 성인 남녀 93명을 대상으로 술 맛을 평가하게 한 뒤 유전자를 검사했더니,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두 개의 SNP모두가 쓴맛에 민감한 유형인 사람이 술을 가장 쓰다고 평가했대. 반면 두 개 모두 민감도가 낮은 사람은 술을 덜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크지 않다. 한국과 달라 매우 인상적이었다!). 한 예로 엔지니어들은 출퇴근 시간이 명확하게 구분돼 있지만, 연구개발자는 일의 특성상 시간 활용이 자유롭다. 일주일에 40시간, 분기별로 520시간의 업무를 하는 최소한의 기준만 정해져 있다.연구원 안에는 카페테리아가 있다. 샌드위치를 주문하면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리고 완성된 종이비행기를 들고 국립부산과학관의 넓은 강의실로 이동해 두 명씩 짝을 지어 비행기를 날렸지요. 세게 던졌지만 바닥에 그대로 고꾸라친 비행기도 있었고, 밀듯이 세게 던지자 멀리까지 활공한 비행기도 있었어요.20개의 비행기 중 가장 멀리 날아간 건 김강현 학생의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성공확률이 얼마인지까지 철저히 계산하는게 과학자들이다.이것은 각광을 받는 한두 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지루한 계산을 끝도 없이 하고 막대한 자료를 질리도록 해석한 학자들, 기기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수없는 반복실험을 한 엔지니어들이 뒤에 있었다. 과학과 합리성의 영역은 ... ...
- [과학뉴스] 아침형 인간의 타고난 유전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결과가 나왔다.미국의 유전자 분석업체 ‘23앤미(23andMe)’의 허유나 연구원팀은 8만9283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생활패턴과 유전자 정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자신이 아침형 인간이라고 답한 3만8937명(43.6%)의 유전자에서 공통점이 발견됐다. 렘수면과 관련된 유전자(VIP), 수면발전과 연관된 유전자 ... ...
- [과학뉴스] 북극서도 열섬현상… 마을 주변이 10℃ 더 따뜻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인구 5만9000명이 사는 아파티티에서는 도심이 외곽보다 12℃ 이상 따뜻했고, 인구가 30만 명인 무르만스크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3℃ 정도였다.연구팀은 북극 열섬현상의 원인으로 실내 난방을 꼽았다. 해가 거의 뜨지 않는 북극에서는 난방이 거의 유일한 열 공급원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 결과는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쏟아져 나올까. 이제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빙글빙글 돌면서 떨어지거나 나선형 궤적을 그리기 때문에 사드가 이를 정확하게 조준해 명중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또, 사드가 노동미사일을 요격하려면 고도 105km 이상에 있을 때 요격미사일을 발사해야 하는데, 이 고도에서는 기만탄(교란을 위해 진짜와 함께 쏘는 가짜탄)을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