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딱정벌레가 가르쳐 준 하얀색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색도 구조색의 일종이지요. 우선 연구팀은 식물 세포벽의 주 구성물질인 셀룰로스를
이용
해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섬유를 만들었어요. 이후 각기 다른 크기의 섬유를 불규칙하게 쌓아서 딱정벌레의 껍데기 구조를 재현했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흰색은 연구팀이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보통의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24시간 동안 쉬지 않고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답니다. KMTNet은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
해 외계행성을 찾아요. 원래 두 별은 각각 고유의 운동을 하며 빛을 내뿜고 있어요. 그런데 별 두 개와 관측자가 일직선으로 놓여 있으면 독특한 현상이 일어나요. 앞쪽별의 질량은 주변의 시공간을 휘게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
해 움직여요. 바퀴 덕분에 우리는 좀 더 빠르고 편하게 먼 곳까지 이동할 수 있지요. 바퀴의 역사는 6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어요. 당시 사람들은 무거운 물건을 옮기기 위해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만들 넓은 땅이 있어야 지을 수 있다. 그러나 초고층건물의 기본 아이디어인 수직성을
이용
하면 적은 면적에 공항을 건설할 수 있다. 수직 이륙이 보편화된 미래의 항공기에도 적합한 구상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Part 1. 피라미드는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이동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멀티는 로프를 없앤 엘리베이터로, 자기부상의 원리를
이용
해 움직이기 때문에 수평 이동수단으로 쓸 수 있다. 구화기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이사(영업기술 담당)는 “멀티는 어떤 기하학적 모양의 레일이라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멀티는 2020년 ... ...
[별난이름정리] 햄 샌드위치 정리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이뤄진 햄 샌드위치는 2차원의 평면 칼로 정확히 반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화된 식을
이용
하면, 만약 7차원 공간에 있는 7개로 된 물체는 6차원의 칼로 똑같이 반으로 나눌 수 있을 겁니다. 4차원 이상은 우리 머리로 상상하기 힘들지만, 이론상으로는 가능합니다. 이렇게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데, ... ...
그는 건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7월 12일 국내 개봉을 앞둔 영화 ‘스카이스크래퍼’의 주연 배우 드웨인 존슨은 지난 2월 SNS에 스카이스크래퍼 포스터를 공개했다. 그런데 포스터를 보고 의심의 눈초리 ... 정확하게 따지고 보는 이과생의 이성뿜뿜한 매력. 여러분도 궁금한 게 있으면 수학 지식을
이용
해 계산해 보세요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시작보드를 뒤집는 건 M1~M9 중 일부를 반복해서 더한다는 거예요. 행렬의 상수배를
이용
하면 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만약 시작보드(A)를 첫 번째 모양(M1)에 맞춰 c1번 뒤집었으면 A+c1M1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결국 시작보드를 뒤집어서 도착보드로 만들 수 있으려면 A+c1M1+c2M2+…+c9M9=B가 ... ...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폭스 미국 미주리대 환경 및 대기과학과 교수팀이 레이더를
이용
해 빗방울의 증발량을 계산하는 방식을 고안해 일기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미주리대 측은 “이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수문학저널’ 2월호에 실렸다고” 6월 11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일기예보는 레이더로 빗방울과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비대칭을 이루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벨 연구팀은 B중간자를
이용
해 CP 대칭성 깨짐을 실험했다. 1973년 일본의 물리학자 고바야시 마코토와 마스카와 도시히데가 발표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을 설계했다. 두 과학자는 6가지 쿼크 각각의 고유한 성질이 물질과 반물질의 약한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