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튼튼하게 고정돼 있는지, 통신장비는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며,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지워나갔다. 모든 준비를 마친 뒤 벌룬과 페이로드를 회수할 울릉도의 기상 상황과 기구의 예상 궤적을 최종적으로 확인했다. 발사팀은 이틀 전 울릉도에 미리 나가 있던 회수팀에 연락을 취했다. “이제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고안됐다. 초고속카메라로 물질 관측뮤온은 우주의 근간이 되는 12개의 기본입자 중 하나로 전자보다 약 206배 무겁다. 자연 상태에서 뮤온의 평균 수명은 2.2마이크로초(μs·1μs는 100만 분의 1초) 정도다. 우주에서 날아온 고에너지 양성자가 수십km 높이의 대기권과 충돌할 때 뮤온이 생성된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포가 제 기능을 못하게 되죠. DNA 메틸화는 정상과 다를 바 없는 염기서열에 핀 하나를 꽂는 상황과 유사합니다(위 오른쪽 그림). DNA에 더해진 ‘메틸’이라는 작은 물질을 핀에 빗댈 수 있습니다. DNA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 억제 기작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자가 발현되려면 이를 도와주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말한다. 미생물도 사람하기 나름인 셈이다. 책을 덮으며 생각해보니, 정말 틀린 거 하나 없는 말이다. 보툴리늄처럼 독성을 가진 미생물도 우리의 눈가 주름을 쫙 펴 주니 말이다. 현실판 ‘마인크래프터’의 이야기 ‘마인크래프트(Minecraft)’라는 게임이 있다. 가상의 공간에서 캐릭터가 석탄,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결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는다. 여 교수는 “우주항공공학전공의 전체 교과과정이 하나의 큰 시스템을 다루는 엔지니어를 길러내는 데 맞춰져 있다”며 “이 과정을 이수하면 우주항공공학뿐 아니라 자동차공학, 조선해양공학, 화학공학 등 크고 작은 규모의 시스템을 다루는 분야에서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합열’이라고 해 뜻이 쉽게 와 닿는다”고 말했다. 눈에 띄는 북한의 용어 중 하나는 ‘사귐’이다. ‘친구를 사귄다’, ‘이성친구를 사귄다’라고 할 때 주로 쓰이는 단어 ‘사귐’은 두 집합의 공통부분을 말하는 ‘교집합’을 뜻한다. 또한, 용어만 봐서는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도전했어요. 그리고 번번히 실패를 겪었죠. 비탈도 평행선 공리에 도전했던 사람 중 하나였어요. 그리고 ‘지오다노의 정리’를 만들어 페르시아 수학자 오마르 하이얌 이후 600년간 제자리였던 평행선 공리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김영욱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현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도구를 이용해 범인의 발자국과 옷, 혈액 등을 찾지요. 그 중 가장 중요하게 찾는 단서 중 하나가 지문이에요. 지문은 손가락 끝에 있는 곡선 무늬를 말해요. 우리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만들어져서 평생 그 모양이 바뀌지 않지요. 사람마다 지문의 모양은 다 달라요.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알게 되었어요. 다섯 개의 대륙을 상징하는 오륜기 문양처럼 전 세계 사람들이 하나 되는 계기를 만들어 주기 때문이에요. 동계올림픽은 막을 내렸지만 3월 9일에 시작하는 동계패럴림픽 대회에 가족과 함께 다녀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사 2 이수연 기자·서울 오정초 6학년 봄방학의 마무리는 ...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들어갔다. 땅을 파고, 가속관이 들어갈 콘크리트 터널을 놓으며 국내 기초과학의 터전을 하나씩 올리고 있다. 빛처럼 빠르게 움직이지만, 비밀의 껍질을 한 꺼풀 벗기는 일은 한 없이 오래 걸린다. 빨리빨리 서두르다 망친 일들이 수두룩하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이제 기다림의 가치를 품을 때가 됐다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