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모양"(으)로 총 3,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카리나 구입 오카리나기사 l20140329
- 그리고 오카리나 구입하려면 가장 기본적인 노벨 오카리나 알토c를 구입하면 돼요 오카리나는 피리와 입에 대고 부는것은 같지만 모양과 구멍이 달라요. 그래서 소리도 다르게 느껴져요~~ 앞으로 오카리나를 열심히 배워서 AAP 포스팅에 부는 장면을 올릴 계획이예요 ... ...
- 봄 나들이 추천 베스트5 행주산성,서오릉, 산정호수,국립수목원, 강화도 전등사기사 l20140324
- 토양·암석·종이·옷감·악기·합판·가구 등 나무의 용도를 보여주는 제품들이 1,500여 종 전시되어 있다. - 산림박물관에서 씨앗의 모양과 나무의 용도 등을 알게 되었다.강화군 길상면 정족산성 안에 있는 사찰. 381년(소수림왕 11)에 아도가 창건하여 전등사라는 이름은 충렬왕의 비 정화궁주가 이 절에 옥등을 시주한 데서 비롯 ...
- 영화'노아'에 나오는 과학 원리 노아의 방주에는 무슨 과학 원리가 있을까?기사 l20140323
- 배처럼 생긴 것이 아니라 사각형 상자모양인 것도 신기했다. 큰 홍수에서 뒤집히지 않고 물에 잘 떠있게 하기위해 사각형 상자 모양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어디로 이동할 필요 없이 그저 홍수만 견디면 되기 때문이다. 방주의 크기는 높이30큐빗, 폭 50큐빗 길이 300큐빗이다.1큐빗은 대략 팔꿈치에서 중지까지의 길이이니까, 우리 학교 운 ...
- 판교의 아이큐아리움을 다녀와서... 고대 생물과 교감 해봤니?기사 l20140323
- 올라오는 물고기를 만들어진 바다공간에서 찾아서 잡는 미션이 주어졌다. 우리가 알고있는 평면적인 물고기 모양을 위,아래,옆 모양을 상상하면서 잡아야되기 때문에 물고기의 모습하나하나에 집중하고 움직임에도 신경을 쓰면서 물고기와 교감을 하게 만들었다. 나는 알고있는 물고기 같은데 잘 알아채지 못해서 매번 놓치는 것이 너무 안타까웠다. 나 ...
- 참나무과 나무들 산에 올라가면 만나게되는 활엽수들~기사 l20140314
- 톱니가 있어요. *상수리 나무와 밤나무: 도토리묵 많이 드셨죠? 도토리가 열리는 나무가 상수리 나무여요. 잎사귀가 밤나무 잎사귀와 모양이 매우 비슷하지만, 밤나무 잎사귀는 잎맥 부분에서 서로 이어지는 선이 울퉁불퉁하지만 상수리 잎은 잎맥부분이 부드럽게 이어져요. 상수리 나무는 벌레집이 뾰족뾰족 나오지 않은데, 밤나무 잎에는 벌레혹이 많이 나와 ...
- 벌레집을 아세요? 나무의 벌레집은 아픔의 상징이래요기사 l20140313
- 튀어오른것이 있어서뭐냐고 했더니, 벌레 집이래요. 밤 잎사귀가 아파서 생기는 거래요. 쪽 동백 나무의 잎사귀에 길게 하얗게 예쁜 모양의 꽃 같은것이 피었길래 물었더니, 벌레집이래요. 우리들은 아프면 뾰루지가 나고 치료해달라고 의사에게 보여주듯이, 꽃과 나무들도 아프면 여기저기 '벌레집'이 생기면서, "제가 지금 몸이 아프니, 저를 혹독하게 건드 ...
- 나무를 무엇으로 구별하세요? 나무 껍질이 서로 다르게 생긴것을 아시나요?기사 l20140313
- 수피들이 독특한 나무들*물 박달 나무: 종이처럼 한장한장 벗겨져요. *칠엽수: 매끈해서 어디서든지 눈에 띄어요*물오리 나무: 큰 눈 모양이 여럿있어요*향나무: 나무 껍질이 세로로 갈라져요*다릅나무: 나무 껍질이 돌돌 말려서 벗겨져요*메타세콰이어: 나무껍질이 세로로 갈라지는데 부드러워 새둥지를 만드는 주 재료로 쓰인대요. 4> 수피로 구별되는 ...
- 나무에는 독특한 껍질의 색상과 질감 .모양등이 있어요. 겨울에도 나무에 잎사귀.꽃이 없어도포스팅 l20140313
- 나무에는 독특한 껍질의 색상과 질감 .모양등이 있어요. 겨울에도 나무에 잎사귀.꽃이 없어도 나무 이름을 알 수 있어요. 이제 봄이 와서 여기저기 잎사귀가 돋기전에 나무 껍질모양을 자세히 봐 보세요. ...
- 과천의 공기가 맑은지 어떻게 알까요? 국수나무를 바라보며기사 l20140311
- 나와 끝마다 지름 5㎜ 정도의 꽃이 달려요. 꽃잎은 거꾸로 된 긴 달걀 모양이고 5장이여요. 꽃받침잎은 5장이고 삼각형에 가까운 반달 모양이고 흰색을 띠며 꽃잎과 엇갈리게 펼쳐져요. 암술은 1개, 수술은 10개여요. 열매는 유심히 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워요. 왜냐면 꽃이 떨어진곳에 그냥 갈색의 조그만 열매가 달려있어서 꽃이 시들어 ...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기사 l20140306
-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같은 갈릴레이의 풀이에 대해 명확한 이유로 설명되기에는 2% 부족하다며 ‘수수께끼’라고 의문을 품어온 모양입니다.오늘 2014년 2월 13일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지를 인용한 런던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뉴욕주립대 검안대학 연구팀은 이 같은 현상이 뇌신경의 작용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밝혀내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 PANS에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