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콧물질질~ 고름찍찍~ 눈물의 일본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섞였다. 진료를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썰렁홈즈의 X선사진을 찾아야 한다. 썰렁홈즈의 이
모양
을 잘 비교해 보고 정확한 X선 사진을 찾아보자. 과연 어떤 것일까? mission 4 언제까지 치료를 받아야 하지?마지막으로 뾰루지 전문 병원을 찾아갔다. 의사 이름은‘다차다가 나리새’로 일본에서 알아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가을에 서해안과 남해안의 하구나 갯벌에 잠시 들르는 보기 드문 *나그네새란다. 주걱
모양
부리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갯벌에서 먹이를 찾는 나의 귀여운 모습을 보여 주고 싶어.*나그네새 : 계절마다 이동하며 우리나라에서 잠시 쉬어가는 철새.노랑부리백로난 전세계에 2500여 마리밖에 남아 있지 ...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일정을 여러분께 전해 드릴게요.칼데라 : 분화구의 지름이 3㎞가 넘는 평평한 냄비
모양
의 웅덩이로 여기에 물이 고이면‘칼데라호’라고 한다.캠프 Ⅰ 기타큐슈 스페이스월드 신나게 뛰놀며 우주인의 꿈을 키워요!‘우주’라는 테마로 만들어진 놀이공원 스페이스월드. 디스커버리호를 휘돌며 ... ...
건강한 이로 미소천사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때 어떤지 생각해 보면 금세 이해가 되죠?예쁜 얼굴이 될 수 없어요!이는 얼굴 전체
모양
을 만드는 역할도 해요. 이는 턱뼈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가 계속해서 움직이면서 턱뼈에 자극을 주어야 턱뼈가 유지될 수 있거든요. 만약 이가 없어 턱뼈가 자극을 받지 못하면 턱뼈는 퇴화되어 점차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추며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연예인 로봇이지. 에버원은 우리 언니야. 물론 립싱크지만 입
모양
이 정확하기 때문에 진짜 같지? 기술이 더 발전하면 내가 직접 노래를 부를 거야. 정밀한 수술을 대신하는 의사 로봇간호사 로봇이 환자를 따뜻하게 보살펴 준다면 의사로봇은 직접 수술을 한단다. 로봇에게 ... ...
다무리아 마을에 나타난 악당 무라카와 쓰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번째 문제의 정답조각이 여러 개 있어서 혼동이 생길 수 있다. 잘 관찰하면 구멍과 같은
모양
의 조각을 찾을 수 있다. 네 번째 문제의 정답물이 지나가는 시간이 굉장히 빨라 밸브를 여는 시간이 문제라고 했다. 즉 거리가 가까워도 밸브가 많으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뜻이다. 조금 돌아가더라도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떨렸다.마을 대표가 돔에 얼음결정열쇠를 꽂았다. 유적지 바닥이 갈라지며 소용돌이
모양
을 따라 마이크가 솟아 올랐다. 한가운데에 선 마을 대표를 선두로 하여 비내리기 기원은 소용돌이치듯 밖으로 밖으로 퍼져나갔다. 긴 절차였다. 우리 마을에 이렇게 사람이 많이 살았나 싶었다. 하지만 누구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무게가 없기 때문에 기체가 가열된다고 해서 위로 올라가지 않아요. 그래서 둥근 공
모양
의 불꽃이 생긴답니다. 이‘우주 불’을 연구하는 임무도 제안되었어요. 3 우주여행도 식후경이라고 우주에서도 역시 먹는 것이 중요하겠죠? 하지만 우주에서 김치찌개를 끓여 먹을 수는 없을 터. 그럼 꼭 바싹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때문이며 방귀와는 관계가 없다.건강한 똥을 위한 나의 하루지금까지 나의 똥이 어떤
모양
이고 색깔은 어떤지, 냄새는 심하지 않은지 살펴보았다. 똥을 잘 누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임을 알았다면 이제부터 최고급 똥을 누기 위해 조금만 더 노력하자. 변기의 물을 내리면서 얼굴에는 행복한 미소가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단세포생물보다 늦은 10억 년 전에 지구에 등장했다. 각각의 세포들은 환경에 알맞은
모양
과 구조, 기능을 갖는다. 우리 주변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생명체가 다세포생물에 속한다. 살아있는 실험실눈 좋은 내 친구 현미경우리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현미경은 대부분 광학현미경이다.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