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옐로나이프를 감싼 ‘천상의 커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모양은 길게 늘어지기도 하고 비틀어지기도 하고 태양 활동에 따라 시시각각 바뀐다.사진은 ‘오로라의 수도’라고 불리는 캐나다 노스웨스트주의 옐로나이프에서 촬영한 것이다.더 많은 오로라 영상은 과학동아천문대 ‘오로라 특별프로그램’에서 만나볼 수 있다 ...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NASA는 “유인 화성 탐사를 위해서도 이번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진짜 우주 사진은 A, D, E 3장이다. A는 아벨 1689 은하단, B는 박테리아와 효모 그리고 곰팡이, C는 박테리아와 버섯류 균종, D는 M27 아령 성운, E는 소마젤란 성운, F는 박테리아다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앞어금니와 어금니를 갖고 있고, 육식동물은 앞니와 송곳니가 날카롭게 발달했다(오른쪽 사진 참조). 잡식동물은 그 중간쯤이라고 보면 된다. 인간은 모든 치아가 대체로 잘 발달해 있고, 음식을 먹을 때에도 모든 치아를 골고루 사용한다. 잡식동물이라는 증거다.인간의 침 안에서도 증거를 찾을 수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제목으로 글을 실었다.➋ 아인슈타인이 1922년 일본을 방문했을 당시 찍은 사진. 아인슈타인 오른쪽에 서 있는 도호쿠제국대 물리학과 케이치 아이치 교수가 통역을 맡았다.상대성이론의 힘상대성이론과 아인슈타인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관심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았다. 1923년 동경유학생학우회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자들의 세계에서는 다른 연구자의 논문을 참고할 때 꼭 기록을 남겨야 한다. 다른 연구자가 인용한 횟수를 기록한 ‘인용 횟수’는 해당 논문이 얼마나 좋은 연구인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UNIST 자연과학부에는 인용 횟수 100회를 넘긴 논문이 100편이나 되는 학자가 있다.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라하라 타워는 가장 아랫부분만 남은 채로 비닐에 덮인 처참한 모습이었다(왼쪽 사진). 다라하라 타워에서 차로 10분 정도 떨어진 하누만도카 더르바르 광장에 있는 궁전 역시 마찬가지였다. 11세기에 건축된 뒤 약 1000년의 세월 동안 네팔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던 이 궁전도 곳곳이 무너져 보는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전류가 강하게 흐르면서 섬광이 나타나는 것이랍니다. 아래 사진은 1970년 대에 캐나다에서 찍힌 지진광이에요. 이 근처에서 1973년 7월 1일 규모 6.7 지진이 발생했답니다.지진대책 예측불가 현상, 경고로 대비한다지진계, 응력계, 인공위성…, 모든 방법을 다 동원2009년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순식간에 달려드는 ‘매복 사냥’이 유리하다.그런데 사자와 호랑이, 표범, 치타(왼쪽 사진)는 고양잇과에 속하는데도 왜 눈동자가 둥글까? 이들은 다른 고양잇과 동물과 달리 어깨 높이가 약 42cm보다 높다. 심지어 치타는 시속 120km 정도의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덩치가 크고 속도가 빠른 덕분에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지난 10월호 특집 기사의 주인공을 기억하시나요? 바로 ‘드론’이었습니다. 드론은 높은 곳에서 이뤄지는 촬영부터 배달, 재난구조까지 해내는 다재다능한 ‘무인비행장치’입니다. 기사를 읽다가 ‘나도 드론 한번 날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셨다고요? 그런 독자들이 모여 드론스쿨에 다녀왔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리서치 패컬티 펠로십’이라는 상을 수여한다. 전병곤 교수는 2014년 수상자다(왼쪽의 사진 속 상패).]이선민 교수님, 컴퓨터공학부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기자 이선민입니다. 최근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아요. 제 후배들만 봐도 그렇고요.전병곤 원래 인기 많았는데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