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0,32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1009
변할 때 전기 용량 C는 Q / V(단위 :F)이다. 즉 전기 용량은 도체의 전위를 1V 높이는 데
필요
한 전하량과 같다.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 면적이 A이고, 간격이 d, 극판 사이의 유전율이 є인 평행판 축전기의 한 극판에는 +Q의 전하가, 다른 극판에는 -Q의 전하가 있을 때 두 극판 사이의 전기장의 세기 E =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09
문제를 접하면서 교과과정 내의 내용은 물론 상위의 개념이나 계산을 익혀두는 것이
필요
하다. 올해 실시된 논술 모의고사에서 과학논술 문제의 난이도는 평이했다. 그렇다고 안심할 일은 아니다. 대학들이 내놓은 모의논술 문제들은 그 형태나 난이도가 반드시 실제 논술고사에 그대로 반영되지는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09
병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루빨리 로봇을 개발해 활용해야 한다”고 군사 로봇의
필요
성을 강조했다.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로봇 전쟁이 전쟁과 전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어떻게 바꿔 놓을까.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다가온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이제는 로봇이 싸운다스스로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
과학동아
l
201009
컴퓨터가 들어갈 공간은 1858m2 남짓이고 나머지는 거의 전력과 냉각, 통풍 등 컴퓨팅에
필요
한 제반 시설을 위해 쓰인다. 특히 지하는 건의 심장부다. 이곳에는 ‘찬 물(chilled water)’과 ‘공기’라고 표시한 거대한 관들이 얽혀 지나가는데, 모두 컴퓨터의 냉각장치다. 일리노이주 특유의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광화문을 모두 들어냈다.완벽한 복원을 위해선 과거를 입증할 만한 다양한 증거자료가
필요
했다. 다행히 광화문은 비교적 다양한 기록이 남아 있었다. 공교롭게도 일본인들이 남긴 것들이 많았지만 일제강점기에 촬영됐던 유리건판 사진과 당시 실측한 도면 등을 참고할 수 있었다. 발굴과정에선 옛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새어나간다는 주장으로 암흑에너지를 설명하기도 한다. 4가지 기본 힘 외에 제5의 힘이
필요
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 글 첫머리에 등장한 것처럼 중력은 엔트로피 힘이라는 주장이 등장할 정도다.어쩌면 이번 세기에 뉴턴과 아인슈타인을 뛰어넘는 새로운 중력이론이 탄생할지 모른다. ... ...
가볍게 들어도 근육 커진다
과학동아
l
201009
근육을 만들기 위해 꼭 무거운 운동기구로 운동을 해야 할
필요
는 없을 것 같다.캐나다 맥마스터대의 스튜어트 필립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가벼운 운동기구를 반복해서 들어도 무거운 운동기구를 들었을 때와 같은 정도로 근육을 키울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미국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09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재발사는 2차 발사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
한 시간을 감안해 내년 중 이뤄질 전망이다. 양측은 가장 유력한 원인을 찾기 위해 추가 시험을 진행할 것이며 이때는 상대방 입회 하에 실시한다는 데 합의했다. 추가 시험이 끝난 뒤에는 제4차 FRB 회의를 ... ...
화려하게 춤출 때, 마음 전할 때 입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09
낼 수 있다. 이 옷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섬유로 만들기 때문에 따로 전선을 설치할
필요
가 없다. 유연하고 얇은 LED와 광섬유는 주변 환경이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빛으로 패션을 바꿀 수 있으며, 옷으로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보여줄 수도 있다.한국은 광섬유로 직물을 짜는 기술이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09
인듐 조성이 증가할수록 에피층의 물성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이를 해결할 새 방법이
필요
했다. 필자는 박사과정 때 작성한 논문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했다고 평가받으며 오랜 연구과정의 보람을 얻었다. 연구실에서는 기존의 양자우물 구조 외에도 양자점, 나노선을 이용한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