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청년드림]“1억원대 인공손, 수십만원에 제작”동아일보 l2015.04.29
- 주제 발표 환자맞춤형 의료 대중화 전망 한국3D프린팅협회와 포항공대 나노융합기술원은 28일 포항공대 포스코국제관에서 ‘3D프린팅 의료 기술과 만나다’를 주제로 제5회 창의메이커스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이기태 창조경제포럼 의장은 ‘3D프린팅 기술이 가져올 산업 혁신’을 ... ...
- 이렇게 얇을 수가! 원자 5개 두께 반도체 소자 개발2015.04.28
- 반도체 소자보다 10배 이상 빠른 차세대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27일자에 발표했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는 이황화몰리브덴은 원자 한 층 두께로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자가 평면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현재 쓰이는 3차원 반도체 ...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2015.04.27
- 원뿔세포에서 발현하는 아이오돕신은 세 종류가 있는데 각각 최대 흡수 파장이 420, 534, 564나노미터다. 최근 발표된 동물실험 결과를 보면 파란색에 민감한 빛수용체가 있는 원뿔세포가 일주리듬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동물은 왜 일주리듬을 정하는데 이처럼 중복된 정보를 ... ...
- 나노 물질 제대로 사용하는 길 열렸다2015.04.26
-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나노 성질이 필요한 모든 곳에 실제로 사용 가능한 3차원 나노 구조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크롬이나 텅스텐 외에 다른 물질을 대상으로 한 추가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박 박사는 5월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온에너지재료센터에서 연구를 ... ...
- 공학한림원, 2014년을 빛낸 산업기술성과 27가지 선정2015.04.24
- 사회적 파급효과 등이었다. 27가지 기술에는 세계 최고의 초고속, 저전력 반도체인 20나노 D램, 피부재생 효과가 우수한 성장 인자의 피부 흡수성을 100배 이상 개선시키는 항노화 화장품, 1회 충전으로 148km를 달리며 세계 최고 수준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확보한 전기자동차, 철골과 콘크리트의 ... ...
- 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 냄새 정말 볼 수 있나2015.04.24
- 실제로 냄새를 보는 일은 불가능하다. 냄새 분자는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지만 대개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이다. 이 정도면 분자현미경을 동원해야 겨우 볼 수 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는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정도다. 주인공의 초능력을 굳이 ...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 인체 단백질과 반응해 저항값이 변하는 그래핀으로는 센서를 만들고 저항이 작은 은나노와이어로는 전류를 흘려주는 부위인 전극을 만들어 결합시킨 것이다. 이 센서는 투명한데다 반으로 접거나 최대 2배까지 잡아당겨도 성능이 변하지 않는다. 특히 외부 안테나에서 쏜 전파를 이용해 작동하기 ... ...
- 분필가루 날리는 칠판은 옛말, ‘자성칠판’ 상용화 임박2015.04.22
- 만들었기 때문에 값이 싸고 구조도 단순해 대형화하기 쉽다. 연구팀은 공에 포함하는 나노 미립자의 색을 바꾸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마자키 교수는 “1970년대부터 전자종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번 연구는 그 연장선상에서 진행한 것”이라며 “색소 입자의 ... ...
- 담배 연기 1시간 만에 100% 정화2015.04.21
- 30분 안에 80%, 1시간 안에 100%의 담배 연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현재 나노촉매필터의 특허권을 확보하고 이 필터를 적용한 정화장치를 특허출원 중이다. 정 연구원은 “KT&G와 함께 상용화를 논의하고 있다”며 “1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백혈구 위치 초당 60번 확인… 세포단위 검사·치료 가능해졌다2015.04.21
- 빠른 속도로 측정 가능한 것이 무엇보다 큰 장점”이라며 “의료계는 물론 물리학, 광학, 나노기술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 광학회 학술지 ‘옵티카’ 20일자 온라인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