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리사 랜들은 평범한 입자물리학자가 아니다. 세계 입자물리학계의 중심에 있는 최고의 석학 중 한 명이다. 베스트셀 ... 되
게
화려한 그래픽이랄까. 길지도 않다. 주제 당 7~8장. 심심풀이 땅콩으로 읽다 보면 자연스럽
게
수학적 사고력이 커질 것이다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기록을 한다. 그러면 정확한 움직임을 포착할 수 없다. 실제로 줄넘기를 하지 않고 비슷하
게
만 움직여도 숫자가 올라가고, 같은 운동을 해도 정확한 숫자가 나오지 않는다. 탱그램팩토리의 스마트로프와 스마트짐은 확실한 움직임을 포착해 정확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팽그램팩토리는 줄넘기뿐만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단은 문제가 있는 쪽을 다시 쳐다봤다. 문제 속에 있는 죄수들은 단을 조롱하듯 더 요란하
게
움직이고 있었다.과연 단은 정확한 정답을 맞혀 내시를 구할 수 있을까?일러스트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최근 젊은 층 사이엔 부모의 경제적 환경에 따라 ‘금수저’와 ‘흙수저’로 서로를 부르는 일이 유행이다. 그런데 태어난 계절에 따라서도 삶이 달라 ... 김 교수는 “앞으로 DNA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의학이 발전하면 위험인자를 좀 더 정밀하
게
알고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
게
우리 삶을 풍요롭
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할 때가 아니라 본능적인 궁금증을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인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게
다가 중력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설명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와인버그 교수에
게
물었다. 과연 표준모형 이후의 물리학은 모든 힘을 통합해서 설명할 수 있을까.“저는 모든 것의 이론이라는 표현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치 세상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물리법칙이 있다는 것처럼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같은 기하학적결정을 가져 광물 수집가들의 인기 수집 대상이다. 겉모습만 아름다운
게
아니라 쓰임새도 다양하다. 주로 화학 약품인 불산과 충치 예방용 치약에 들어가는 불소를 추출하는 원료 광석으로 쓴다. 순수하고 투명한 형석은 초미세 가공이 요구되는 반도체 제조의 핵심 장비인 스태퍼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연료전지연료전지는 기본적으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만든다. 현재는 크
게
두 가지 재료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고분자 연료전지는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어 연료전지 자동차, 휴대용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 연료전지는 크기도 작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반응한다.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좌절감을 맛보곤 합니다. 모형으로 만들고 그림그리는
게
쉽지 않은 거죠. 다른 애들은 다 잘하는데 나만 못하는 것 같고. 그런데 이런 부분은 아주 부수적인 부분이에요. 가장 중요한 건 콘텐츠입니다. 영화에서도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듯이 건축도 그 건물이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모두가 한 눈 속에 들어 있기도 하지요. 진달래나 개나리처럼 봄이 오면 온 세상을 환하
게
만드는 꽃나무들은 이미 꽃으로 피워낼 꽃눈의 분화*를 마친 상태로 겨울을 나요. 꽃이 될 눈들을 잘라 보면, 이미 모양과 숫자를 다 갖춘 꽃잎이 차곡차곡 포개져 때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