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정복 꿈꾸는 '
생명
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DNA를 찾아서 완벽하게 복구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NA를
생명
의 설계도가 담긴 수십억 권의 책을 보관하고 있는 도서관에 비유해보자. 하나의 세포에는 똑같은 책을 보관하고 있는 ‘DNA도서관’이 2개씩 있다. 각 도서관에는 이중나선 모양으로 이뤄진 책장에 책이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5년에 걸쳐 그린 ‘천지창조’에는 하나님이 아담의 손가락을 통해
생명
을 불어넣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성경에서 천지창조를 묘사한 창세기에는 손가락 얘기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사람의 코를 통해 생기를 불어 넣었다고 언급할 뿐이다. 미켈란젤로는 왜 손가락에 집중했을까. 인간을 만물의 ... ...
물고기에게 '맞춤형 가옥'을 지어줍니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인공어초는 무용지물”이라고 설명했다.그는 1999년 여수대(현 전남대 여수캠퍼스) 수산
생명
과학부에 입학한 뒤 대학교 2학년 때부터 매년 해양실습선을 타고 바다에 나가 실험용 물고기를 직접 잡았다. 현장에서 직접 부딪히며 얻은 지식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석사 과정을 이수할 때는 ... ...
돌격! 동물특공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는 말이 있어요. 전쟁에 참가한 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쳤다는 사실을 의미하죠. 그래서 위령비나 기념일을 만들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넋을 기리지요. 하지만 여기서 잊은 사실 하나! 전쟁에 기여한 건 사람만이 아니라는 거예요. 먼 옛날, 탱크와 장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주위에서는
생명
공학에 기하학을 응용하는 분야를 추천해주기도 했지만 그에게
생명
공학은 너무 생소했다.그런 가운데 눈에 들어온 분야가 사회현상에서 뽑아낸 여러 통계 데이터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정보기하학이었다. 특히 금융공학과 관련된 논문을 찾아 읽으면서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손에 쥔 조민행 교수는 포스트게놈시대의 주역으로 주목받는 단백질 분자 연구에서
생명
의 비밀 캐기에 여념이 없다.조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뒤 미국 시카고대에서 물리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내며 연구 분야를 분광학으로 좁혔고, 현재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몸무게가 50g도 안 되는 작은 과일박쥐(Cynopterus brachyotis)가 날아다닌다. 그런데 이 조그만
생명
체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공기역학 연구자들은 과일박쥐가 공기의 흐름을 어떻게 바꾸며 나는지를 밝혀 비행체를 설계할 때 응용하려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케네스 브루너 박사는 과일박쥐 비행을 ... ...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주사전자현미경으로 485배 확대해 찍었다.튤립입선작·일반부박미향·강원대 식품
생명
공학과 튤립의 꽃말은 고백. 튤립의 꽃잎이 조심스럽게 입을 열고 말하는 듯하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양파의 꽃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했다. 배율은 45배.총각무 입선작·초중등부정수근·청주원봉중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임상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 성공 효율이 높더라도 여전히 인간 난자를 이용해야 하는
생명
윤리적 문제점이 남아있다. 아무튼 여성은 자신의 난자를 이용해 내 몸에 맞는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희망이 있다.그렇다면 남성은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 혜택을 기대할 ... ...
PART2 2007 대선은 과학전쟁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만족하는 과학기술연구의 잣대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 BT분야에서는 윤리, 인권,
생명
존중 같은 가치가 실용적 가치와 충돌하며 곧잘 설 자리를 잃고, IT분야도 네티즌의 사생활 보호와 개인정보 보호문제는 늘 정책의 뒷전으로 밀린다.과학기술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