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 성회복’ 등 인성교육 강좌를 KAIST에서 열었고, 작년부터 전인교육학회 회 장, 미래 교육 소사이어티 창립멤버로 활동 중이다. djlee@kaist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과학적인 빅 히스토리를 정립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에는 지금처럼 우주와 지구, 생물의 역사가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크리스천 교수는 “이제 인류는 빅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모든 부분의 역사를 과거보다 훨씬 잘 이해하게 됐다”고 말했다. 30여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달리 지금은 고등학교부터 무한을 배운다. 하지만 무한은 아직 미지의 세계다. 지금도 인류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무한집합의 크기가 다양하다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그와 관련된 여러 가지 궁금증까지 해결된 것은 아니다. 20세기를 대표하는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는 1900년 프랑스 파리에서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없다. 일단 구급요원을 불러야겠다.”조우진이 어디론가 전화를 걸었다.“응, 난데. 지금 애들 몇 명이 쓰러졌어. 응급 상황이야. 구급요원 좀 호출해줘. 셧다운되기 전에 들어올 수 있게 빨리 좀 처리해.”그 사이 다른 아이들은 옷가지 따위를 바닥에 깔아서 쓰러진 아이들이 가능한 편히 누워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0호
- : 심장박동 외에 무엇을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행성 궤도는 어떤가요? 츄 교수 : 지금은 심전도 데이터를 음악으로 만드는 데 몰두하고 있지만, 다른 소스로 작곡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답니다. 어떤 사람들은 뇌전도나 바다, 우주 현상에서 데이터를 얻어 음악을 만듭니다. 심박으로 ... ...
- [가상인터뷰] 알을 먹고 쑥쑥 자라는 곤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일종인 ‘콜로라도감자잎벌레’예요. 예전에는 북미지역과 멕시코 일부에만 살았지만, 지금은 아시아와 유럽 등 모든 온대 지역에 살고 있지요. 몸길이는 1cm 정도이고, 밝은 노란색이나 오렌지색 몸체에 10개의 굵은 갈색 줄이 세로로 나있는 것이 특징이랍니다.또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감자를 ... ...
- [과학뉴스] 진주 만드는 조개의 핵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세포 안에서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진주조개가 어떻게 이 물질을 안정화하는지가 지금까지 의문이었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만든 진주조개 단백질(Pif80)을 이용해서 탄산칼슘 전구체가 안정적으로 형성 및 저장되는 과정을 규명했다. 또 이 단백질이 다각형 구조가 주기적으로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어 180조 원의 사회적 편익이 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임신과 출산, 독박 육아로 지금 당장 연구 활동을 할 수 없게 된 여성 과학기술인 한 명 한 명에게는 사실 이 같은 사회적 편익은 먼 이야기일 뿐이다. 그들은 그저 사랑하는 아이를 잘 키우면서 연구 활동을 계속 하고 싶은 현실적인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명 수준이다. 하지만 수백만 명 이상으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늘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지금은 왓슨이 의학 교과서나 저널에 실린 결과를 토대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유전정보 데이터가 늘어날수록 암 유전자의 유무, 발현 빈도 등 유전정보를 따질 수 있다. 김 교수는 “데이터를 많이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델피니딘에 당을 결합시켜 구조를 변화시킨다. 이렇게 탄생한 파란 국화(아래 사진)는 지금까지 생명공학 기술로 피어난 파란 꽃들 가운데 가장 파랑에 가깝다. 닐 앤더슨 미국 미네소타대 원예학과 교수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번에 개발된 파란 국화는)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