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다. 이 특이점은 에너지와 물질의 밀도가 무한대인 점으로, 이것이 작은 돌덩이 하나에 농축된 것이 인피니티 스톤이다. 즉 6개의 인피니티 스톤에는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담겨있다. 소울 스톤의 행방은?6개의 인피니티 스톤 중 소울 스톤은 아직 한 번도 영화에 등장하지 않았다. 소울 스톤으로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논문을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정해 연구주제발표 세미나를 2~3번 하고, 사사논문 발표회를 2번 연다. 분야와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한다. 그래서 ‘QR코드의 무늬를 조작해도 인식이 가능할까?’, ‘과일의 스트레스가 당도에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3×3 게임판이 있어서 사실상 9×9인 셈입니다. 규칙은 이렇습니다. 9개의 3×3 틱택토 중의 하나를 선택해 빈칸 중 한 곳에 ◦ 또는 ×를 표시합니다. 만약 위에 왼쪽 그림처럼 한가운데 있는 틱택토의 윗줄 가운데 ×를 표시하면(❶), 다음 사람은 윗줄 가운데 있는 틱택토로 가서 빈칸 중 한 곳에 ◦를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화성에 갈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뭘까. 미국이 화성에 갈 때 아주 결정적인 기술 하나가 한국에서 나온다면, 우리는 이미 유인 우주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겁니다. Q. 최근 한 인터뷰에서 본인이 우주인 배출 사업의 ‘도구’였다고 발언해 온라인 ‘악플’도 많이 겪으셨다고요. 인터뷰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다. 김 교수는 “열 감지 적외선 카메라는 큰 물체가 사람을 가리고 있더라도 물체 뒤에 있는 사람을 인지할 수 있다”며 “미리 서행을 하는 등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2017년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2018’에서 처음 발표했다. 동형암호, 왜 안전한가동형암호는 현존 최강 암호체계 중 하나로 꼽히는 ‘격자기반암호’의 한 종류다. 격자기반암호란 수학계에서 절대 답을 찾을 수 없다고 알려진 ‘격자 문제(lattice problem)’를 응용한 암호를 말한다. 동형암호를 포함한 격자기반암호는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표현으로는 ‘나노(nano) 세계’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다. 1982년 원자 하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주사터널현미경(STM)이 개발되면서 나노기술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나노의 가장 큰 특징은 말 그대로 작은 크기다. 신문 한 장의 두께는 10만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먹는 방송)을, 때로는 굶방(굶는 방송)을 해가며 불굴의 실험 정신을 뽐낸다. 목적은 단 하나, ‘그저 그런 기사는 쓰지 않겠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 누구나 관심을 가질 법한 주제라면 영혜는 과감히 본인을 실험대에 올렸다. 우주, 대기, 미생물 등 실험 분야는 다양하다. 그는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들뜬 기운이 느껴지는 3월의 마지막 금요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는 봄꽃들이 하나 둘 싹을 틔우고 있었다.공대 학생들의 ‘공방’인 해동아이디어팩토리에 도착하자 이제 막 대학 생활을 시작한 기계공학전공 새내기들과 그들의 1년 선배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대부분 서로 처음 만나는 ... ...
- Part 4. 행성 탐사로 지구를 이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화성 지각 아래로 찔러 땅 안에 있는 열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할 수 있어요. 또 다른 하나는 ‘지진계’예요. 지진계는 지각이 움직이며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해서 지진파를 기록해요. 이렇게 기록된 정보들은 화성의 지각 구조는 물론, 지구를 포함한 다른 행성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