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책
서적
책자
저서
서책
book
단행본
d라이브러리
"
도서
"(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05
가까워졌다. 한국해양연구원(이하 해양연) 하구역기능회복연구단 정경태 박사는 “
도서
지방을 제외한 경기만의 자연해안선은 40년 전의 13%만 남았다”고 전했다.그동안 난(亂)개발이 진행되면서 경기만 일대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약 250회 실시됐지만 결과적으로 서해안 환경은 악화됐다. 생물이 ...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04
수립된 3000건 이상의 세계신기록을 분석해 그 결과를 과학저널 ‘공공과학
도서
관생물학’(PLoS Biology)에 발표했다.연구팀에 따르면 올림픽이 최초로 열렸던 1986년 운동선수들은 신체능력의 75%를 사용했다. 반면 현대 선수들은 99% 가까이 신체능력을 발휘한다. 연구를 이끈 장 프랑수아 투생 박사는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03
있었다. 그에겐 셀룰로오스 외엔 눈에 들어오는 것이 없었다. 미국 동부의 유명 대학
도서
관들을 돌며 셀룰로오스에 관한 자료는 모두 긁어모았다. 복사한 자료를 쌓은 높이가 1m를 넘었다.귀국한 뒤에는 자료를 공부하느라 밤을 지새기 일쑤였다. 도대체 왜 종이가 움직이는지 스스로 만족할만한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덮쳤던 시절!”지금으로부터 1만 5000년 뒤, 지구에는 다시 빙하기가 찾아왔다. 우연히
도서
관 고문서 보관실을 뒤지던 오웰은 19세기 초 독일 과학자였던 칼 쉼퍼의 시를 발견했다. 시 속에 묘사된 소빙하기의 지구는 춥고 황폐했다. 한 뼘도 안 되는 햇살을 쏟아놓고 금세 저물어가던 여름은 야속할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글쓰기를 잘하려면 기승전결을 버려라|강호정 지음|
도서
출판 이음|236쪽|1만2000원 PROLOGUE어린 시절을 되돌아보면 나는 정말 글쓰기를 싫어하는 아이였다. 초등학교 때 원고지 10매 분량의 글쓰기 숙제 때문에 끙끙거렸던 기억들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래서 글쓰기와 관계없을 것 같은 과학자가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오늘은 내가 화장실 청소를 할 차례야. 어차피 더러워질 화장실을 도대체 왜 청소하는지 정말 이해가 안 돼. 그래서 밀대를 가지고 이리저리 신나게 뛰어다녔는데…, 일을 저지르고 말았어. 밀대 끝으로 살짝 건드렸을 뿐인데 변기가 깨져 버렸지 뭐야! 덜컥 겁이 나긴 했지만 속으로 생각했어. 뭐~, ... ...
고대 바이러스로 에이즈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12
HERV 백신으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HIV를 파괴하는 방법을 ‘공공과학
도서
관 병리학’(PLoS Pathog)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T세포에 들어간 HIV가 HERV를 억제하고 있는 제어시스템을 교란시켜 HERV가 발현하도록 유도한다고 가정했다. 연구팀이 29명의 신규 HIV 감염자와 12명의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12
DNA 변형이 일어난 부분을 그 주위까지 통째로 잘라낸 뒤 빈 부분을 다시 복구한다. DNA
도서
관에 직사광선에 훼손된 책 한권이 있을 때 그 책이 꽂혀있는 책장 한 줄 전체를 교체하는 셈이다. 현재 수십 개가 넘는 단백질이 NER 과정에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들이 어떻게 손상된 DNA를 찾아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11
시각을 담당하는 부위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 독일 온라인 국제저널 ‘공공과학
도서
관’(PLoS ONE) 9월 16일자에 발표했다.철새의 눈에서 시각 정보를 감지하는 망막에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망막에 신경 추적물질을 넣고 조사한 ... ...
2. 암모니아 합성 과정, 원자 수준에서 보는 고체표면화학
과학동아
l
200711
있을지도 모른다. 에르틀 연구실의 신나는 전통 1980년 12월 어느 날 저녁, 필자는 뮌헨대
도서
관에 생맥주가 가득한 오크통과 맛있는 음식을 차렸다. 박사학위를 받기 위한 최종 시험 통과를 기념한 축하파티였다. 에르틀 교수의 연구실에는 학위를 받은 사람이 그날 저녁 음식과 맥주를 준비한 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