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집단
회합
단체
그룹
무리
위원회
d라이브러리
"
모임
"(으)로 총 874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여기 모인 친구들은 ‘새신모’ 회원들이야. 새로운 신발을 꿈꾸는 동화 주인공
모임
이라고나 할까? 동화 속에서 똑같은 신발만 신고 살았더니 이제 신발을 좀 바꾸고 싶어졌어~. 그런데 어딜 가냐고? 오늘이 바로 새 신발을 고르러 가는 날이거든! 모두 다 모 였지? 그럼 함께 가 보자구! 없는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의 또다른 재미는 ‘오류를 찾아라!’입니다. 하하. 저희는 틈틈이 조
모임
을 통해 오류를 찾아내고 있어요. 졸업 전까지 최선을 다해 수정하려고요. 후배들이 공부할 때는 아무 문제없도록하는 게 마지막 목표입니다.20세기 수학계를 주름잡던 니콜라 부르바키는 놀랍게도 지금까지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2006년에는 관측 및 이론 우주론 전문가들이 모여 암흑에너지 전략 회의록을 출간했다. 이
모임
에서 우주가속팽창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미래 관측 계획을 논의했다. 첫 번째는 초신성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우주의 가속팽창을 관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 ...
학교 수학시험이 사교육을 부른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기말고사 시험지를 입수해 분석했다.이 조사와 분석에는 수학사교육포럼과 전국수학교사
모임
, 좋은교사운동에 소속된 현직 수학교사 10여명이 참여했다. 사교육 과열지구에서 18개 중학교를 선택해 조사하게 된 계기는 이곳의 수학 시험 문제가 지나치게 어렵게 출제된다는 제보를 받아서다.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울 명덕고에서 과학과 물리를 가르치고 있다. 과학교사 연구
모임
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 회원과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 심의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한 번만 읽으면 확 잡히는 물리’ 등이 있다.]전국의 교통신호등은 광원으로 무엇을 사용할까?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러나 유전자는 정보일 뿐 진짜 일꾼은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모임
인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HUPO)’ 총회가 9월 4~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다. 이번 총회에서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이어 사람의 모든 단백질을 정리하려는 움직임이 한창이었다.HUPO 2011 학회장에 모인 ... ...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감성의 학문, 수학’ 이라는 주제로, 최수일 전국수학교사
모임
전 회장은 ‘수학공부 지혜롭게 시키기’ 라는 주제의 강연을 펼쳤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교육과학기술과 긍정의 변화’ 특강도 관심을 끌었다.사업단은 현재 전국을 순회하며 수학박사가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토이 스토리’가 등장했다.애니메이션에도 법칙이 있다!애니메이션이 정지된 그림의
모임
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니? 무려 1초에 24장이나 되는 그림을 빠른 속도로 움직여서 영상을 만드는 거야. 정지된 그림이 보통 1초에 16장 이상 지나가면 우리 뇌는 그림이 정지된 순간을 보지 못하고,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수 있는 시각을 갖게한다는 점에서 추천한다.김남준 서울 불암초 교사, 전국수학교사
모임
초등교육과정팀장4.5.정의 수학나라_동녘, 2005수는 처음 어디에서 왔을까? 수학의 시작에서 현대 수학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두루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수의 아름다움, 수의 나라, 도형의 ... ...
인간관계에서 잡담이 차지하는 역할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혼자 떠들고 아무도 그 얘기를 안 들어주는 경우도 허다하다. 언젠가 열 명 정도가 있는
모임
에서 열 명 각각이 동시 다발적으로 얘기를 쏟아놓는 장면을 목격한 적이 있다. 가만히 보니 각자 자기 얘기를 하느라 남의 얘기는 듣지도 않고 있었다. 더 재미있는 건 그런 사실을 아무도 깨닫지 못하고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