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체인"(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과학동아 l1999년 06호
- 1개에 대응하는 정공(hole)이 생겨 음극으로 움직인다. 자유로워진 전자와 정공이 부도체인 게르마늄에 전류가 흐르게 한 것이다. 흔히 전자를 n(negative)형 반도체, 후자를 p(positive)형 반도체라고 한다.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벨연구소의 윌리엄 쇼클리(1910-1989), 존 바딘(1908-1991), 월터 브래튼(1902-19 ...
- 플레밍 신화의 진실과학동아 l1999년 04호
- 플레밍과 플로리, 체인을 생리의학상의 공동수상자로 발표했다. 이때도 플로리와 체인은 언론에 냉담하게 굴었는데, 한 모임에서 플로리는 자신의 억울한 심정을 이렇게 표현했다. “1940년 페니실린에 대한 첫 관찰이 발표될 때까지 페니실린의 참모습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분명 ...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다시 수축, 우주 탄생의 시초로 돌아간다는 가설이 있다. 이는 2차원에서 바라본 3차원체인 구가 점이었다가 원으로 크기가 계속 늘어나다가 다시 줄어들어 수축해버리는 것과 같지 않을까 하는 재미있는 상상을 하게끔 한다. 3차원의 입장에서 바라봤을 때는 우주가 붕괴하는 파멸을 뜻할 수도 ...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그리고 노벨상위원회는 페니실린을 발견하고 개발한 업적을 평가해 플레밍, 플로리, 체인 3명을 1945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지금껏 개발된 모든 치료약 가운데 페니실린만큼 놀라운 효과를 거둔 약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페니실린의 처지는 어떤가? 나라마다 차이는 ...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과학동아 l1998년 10호
- 프랭클린은 손 부위에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우선 삼끈 끝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인 명주 리본을 연결했다. 또 명주리본과 삼끈 사이에 쇠로 만든 열쇠를 매달았다. 열쇠 가까이 손가락을 가져가면 전기가 흐르는지 여부를 느낄 수 있게 만든 장치다.프랭클린 부자는 명주리본과 열쇠가 젖지 ... ...
- 북한 로켓 미스터리과학동아 l1998년 10호
- 한국은 현재까지 인공위성에 관한 한 북한을 앞서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그러나 발사체인 로켓 분야에서는 상황이 역전된다. 한국은 93년 1단과학로켓 과학1,2호(최대 고도 37.5km)를 쏘아올렸고, 올해 6월에서야 2단 중형과학로켓을 고도 1백37km 상공에 올렸을 뿐이다. 예정대로라면 2003년에야 ... ...
- 달리는 자전거는 쓰러지지 않는다과학동아 l1998년 09호
- '방랑자'라고 이름 붙인 자전거를 개발했다. 이는 두 바퀴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체인 동력전달 장치를 쓴 것이었다. 오늘날의 자전거 형태와 유사한 것으로 '큰바퀴 자전거'에 비해 월등히 안정적이어서 '안전 자전거'라고 불렸다. 그 후로 지금까지 변속 기어, 경량 구조, 브레이크 장치, 공기압 ... ...
- 인터넷 시월드과학동아 l1998년 07호
- 'seaworld.org'라는 도메인 이름에 걸맞는 세계 최대의 사이버 수족관이다. 세계적인 수족 관 체인인 시월드 어드벤처가 만든 웹 사이트로 각종 바다생물에 대한 정보를 모아 놓았다. 동물자료실(Animal Resources)을 비롯해 교육자료실, 교육 프로그램, 퍼핀 캠 등 다양한 메 뉴로 구성돼 있으며 관련 ... ...
- Ⅱ. ①생리: 남녀 결정 두번에 걸쳐 이루어진다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여성 생식기가 분화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과 그 유사체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은 볼프관이 부정소, 세정관, 저정낭, 음경과 같은 남성 생식기관으로 분화되도록 만든다. 이를 ‘2차 성결정’이라고 부르며, 다른 말로 ‘제1차 성징’이 나타난다고 말한다 ... ...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과학동아 l1998년 05호
- 피트(feet: ft), 마일(mile: mi), 야드(yard: yd), 인치(inch: in) 등을 사용하고 특별히 영국에서는 체인(chain: chain)이라는 단위를 따로 사용하기도 한다.미터가 국제적인 단위임에도 왜 각 나라는 여전히 각 나라의 고유한 단위를 사용하는 것일까. 그것은 오랜 문화적 습관은 쉽게 고쳐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