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한옥을 뚝딱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이동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건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 세부 건축
하기
➊ 벽면이 없는 부분이 대청마루예요. 마인크래프트 맵에서 플레이어를 이용해 마루로 올라가는 계단과 방으로 들어가는 문을 만들어 주세요. ➋ 대청마루 반대쪽 안산암을 부수고 모닥불을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6장. 괴델 수와 모순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문장 p를 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 버린 겁니다. ♠ ‘괴델 수’로 번역
하기
괴델은 문장 p를 수학의 언어로 바꾸기 위해서 ‘괴델 수’라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고안했습니다. 괴델 수는 문장을 자연수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마치 컴퓨터가 한국어 문장을 0과 1의 나열로 변환해서 ... ...
[기획] 양자컴퓨터 본격적인 연구는 이제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만들어야 해요. 큐비트는 빠르게 사라지거나 오류가 나기 쉬워서 정확한 계산을
하기
힘들지요.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양자컴퓨터로 풀 수 있는 문제를 찾는 거예요. 양자컴퓨터가 실제로 잘 쓰일 수 있어야 연구가 계속되겠죠. Q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지금 크기는 작아지고 성능은 5큐비트 ... ...
[이슈2]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 아치교편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6호
때는 편평한 아치가 필요
하기
도 해요. 다리 전체의 높이를 낮춰서 안정적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아치교에는 원형 아치뿐만 아니라 타원형, 포물선형, 쌍곡선형 등 다양한 아치가 쓰여요. 원은 원뿔의 밑면과 평행★하게 잘랐을 때 나타나요. 타원은 밑면과 평행하지 않게 비스듬한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정호상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는 “앞으로 배달비가 어떻게 바뀔지 섣불리 예측
하기
는 어렵다”면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비자들이 내는 비용과 서비스의 만족도, 배달비 수익의 분배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사회적인 합의를 찾아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묶었다가 풀었다가 다시 묶는 ... ...
[기획] 다시 모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클릭하면 저자가 직접 내용을 설명해 주기도 한다.코로나19로 전혀 새로운 분야가 등장
하기
도 한다. 일례로 5월 11~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 린 박람회 ‘바이오코리아 2022’의 전시관 한가운데에는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반짝였다. 전통적으로 실험 기구나 제약 회사가 주를 이루던 과거와 다른 ... ...
[특집] 게임도 과학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게임을 좋아하는데 과학에도 흥미가 있다면, 이 파트가 더 현실적인 대안일 수 있다. 요즘은 게임도 과학이다. ‘야스오는 과학이다’의 ‘과학’과는 다른 뜻 ... 다만 듀오 조합은 ‘밴’과도 상당히 관련이 있어서 단순히 승률만으로 판단을
하기
는 쉽지 않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 ...
네, 그래서 이과가 투명 스마트폰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하기
엔 충분했죠.투명 스마트폰을 개발
하기
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겁니다. 궁금한 건 왜 이렇게까지 해서 투명한 스마트폰을 만들어야 하냐는 겁니다. 우린 안 투명한 스마트폰을 가지고도 잘 지내는데 말이죠. 삐딱한 시선으로 자료를 찾던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누리호 카운트다운! 발사장은 어디에?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속도가 중요한데, 적도 지방에서 로켓을 날리면 상대적으로 큰 선속도를 가지고 출발
하기
때문에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우리나라도 최대한 남쪽으로 발사장을 알아보던 중 제주도는 바람이 많이 불고 날씨의 변수가 커 최종적으로 고흥을 선택했답니다 ... ...
[과학뉴스] 미국에서 GM 모기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않았다. GM 모기를 수컷에만 적용되도록 만든 이유는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다.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암컷과 달리 수컷은 과일의 즙이나 수액을 먹고 산다.이번 실험으로 GM 모기의 효과가 증명됐지만, 이 연구가 바이러스 전파를 줄이는지를 검증했는가에 대한 논란은 있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