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만드는 변수 중 하나다. 이유2 : 각종 지진 규모 계산법 보정하는 보정값 문제
학계
에서는 지진파 전파에 따른 변수를 감안해 지진 규모를 최대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보정값을 쓰고 있다. 보정값을 포함한 지진 규모 계산법을 ‘규모식’이라고 부른다. 리히터는 지각에서 발생한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국 과학자들은 김씨와 정 씨 부인이 어떤 병을 앓았는지 밝혀냈다. 그리고 지금껏
학계
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사실도 최초로 밝혔다. 김 씨와 정 씨 부인이 장기가 온전히 보존된 미라로 발견된 덕분이다. 기생충으로 질병 추적국내에서 미라를 연구하기 시작한 건 1960년대부터였다. 묘를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또 “극대기에서 극소기로 향할 때 강력한 태양 폭발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학계
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이 없다”며 “적은 수의 흑점에 더 많은 에너지가 모였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로서는 태양폭풍을 미리 예측하고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최선이다.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맞지만, 신호가 잦거나 많다고 해서 곧바로 분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직
학계
에서는 화산 분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신호를 확인하지 못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화산 분화 예측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르는 지진 예측 보다는 쉽지만, 날씨 예측보다는 어렵다”고 말했다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쉽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 당시에도
학계
에서는 “인간의 세포에서 처녀생식이 일어났다는 사실만 가지고 논문을 발표했어도 큰 주목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만큼 드문 현상이라는 의미다. 박 연구위원은 “유전자 교정을 한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을 널리 알리는 일을 하죠.” ‘이기적 유전자’가
학계
에 독창적인 공헌을 한 학술서가 아니라, 다른 과학자들의 연구를 산뜻하게 포장한 대중서일 뿐이라는 인식은 윌슨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서 엿볼 수 있다. 고등학교 생물교사이기도 한 조진호 작가는 ‘판타스틱 과학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등과 결합한 뒤 DNA에 붙어서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RORα 수용체가 지방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연구팀은 RORα 수용체가 오히려 간의 지방 대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로 비만 조절에 관여하는 대사 과정이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짠맛, 감칠맛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doi:10.1016/j.foodchem.2013.03.070).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고기와 젖, 채소 등을 오랫동안 끓이거나 발효 시키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여러 가지 아미노산이 생겨나 풍미가 깊어진다고 설명해왔다. 그런데 연구팀은 펩티드 중에서도 글루타티온과 글루타밀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3학년 생명과학 과목들은 교과서가 아니라 최신 생명과학 논문을 교재로 삼는다. 현재
학계
에서 어떤 주제가 가장 주목받고 있는지 생생하게 알 수 있다. 이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일찌감치 자신이 어떤 연구 주제에 흥미를 느끼는지 가늠할 수 있다. 오혜린 씨(22)는 지난해 생명과학특강 수업을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범위를 넓혔다. 화장품에 쓰이는 원료물질은 아직까지 종류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학계
와 제약업계에서는 아예 새로운 물질을 찾아 화장품과 약품 개발을 동시에 시도하고 있다. ‘천연물 헌터’들의 활약이 중요해진 셈이다. 노주원 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새로운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