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sa"(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향후 베누 표면의 시료을 얻는 데 성공하면 이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SA의 오리시스-렉스는 10월 20일경 베누 표면 시료 채취를 시도하고, 2023년 9월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해 게임을 해달라고 도움을 요청했어요. 게임과 산호가 무슨 관계기에 그러냐냐고요? NASA 에임스연구센터는 유체 렌즈 카메라로 전 세계 산호의 생태를 추적하고 있어요. 별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유체 렌즈로 고화질 해저 이미지를 찍지요. 유체 렌즈는 파도가 만드는 왜곡을 제거해, 산호를 ... ...
- [과학뉴스] 실가닥 뿜어내는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 가닥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Hi-C 망원경을 한 번 더 발사할 예정이에요. 또 NASA의 파커 태양 탐사선과 유럽우주국(ESA)의 태양궤도선이 수집하고 있는 자료와 종합해 이 가닥들의 발생 원인뿐 아니라, 이 가닥이 태양 폭발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볼 예정이랍니다 ... ...
-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드래건, 64일 만의 귀환 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크루드래건 발사 당시에도 엄청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것이고요. 앞으로 우주탐사는 NASA가 민간 우주기업들과 함께하게 될 것이고, 상업 우주 개발도 탄력을 받을 것 같아요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하루도 쉬지 않고 우주를 관측하고 있지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생일을 맞아 특별 웹페이지를 열고 그동안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일을 해 왔는지 볼 수 있는 영상과 사진 등을 공개 했답니다.그중 사람들의 생일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사진을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고작 140m를 이동하는 것과 달리, 마스 헬리콥터는 최대 초속 10m로 빠르게 이동해요. NASA는 드론의 날개를 분당 5000회로 빠르게 돌려 대기가 적은 화성에서도 날릴 계획이랍니다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시민과학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프로젝트죠. 원반 찾기의 기준은 ‘원’NASA 연구팀은 원시행성계 원반을 찾기 위해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할 수 있는 모든 하늘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는 빛의 일종인 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그 빛을 포착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인공위성 등에 센서를 달아 극지를 원격으로 탐사하고자 했다. 1960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초의 기상 위성 타이로스(TIROS) 1호를 발사해 북극해 해빙을 처음으로 촬영했다. 그러나 영상에 담긴 건 대부분 자욱한 구름이었다. 북극은 1년 중 수개월 동안 해가 뜨지 않고 구름이 끼는 날이 많은데,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나오는 모습이 생생하게 찍힌 것이다. 아리랑 5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더 덕분이었다. NASA와 ESA는 저해상도 광학 위성을 이용해 남극 대륙을 관측하고 있었는데, 이는 넓은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대신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반면 아리랑 5호의 영상레이더는 365일 24시간 고해상도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2035년 9월 북극 바다에서 해빙을 볼 수 없을 거라는 결과도 내놨다. 21세기 중반이라는 NASA의 예측보다 최소 15년 이상 앞당겨진 예상치다. 북극은 지구의 기후를 조절하는 버튼으로 여겨진다. 지구온난화로 북극 버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북극 지역의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이에 따라 차가운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