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이보다 몇천, 몇만 배 큰 데이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우주를 관측하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
)에서는 단 며칠만 우주를 관측해도 수십 PB(페타바이트·1PB는 약 105만GB)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대용량 데이터는 전송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시간도 만만치 않다.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나오는 모습이 생생하게 찍힌 것이다. 아리랑 5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더 덕분이었다.
NASA
와 ESA는 저해상도 광학 위성을 이용해 남극 대륙을 관측하고 있었는데, 이는 넓은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대신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반면 아리랑 5호의 영상레이더는 365일 24시간 고해상도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해 게임을 해달라고 도움을 요청했어요. 게임과 산호가 무슨 관계기에 그러냐냐고요?
NASA
에임스연구센터는 유체 렌즈 카메라로 전 세계 산호의 생태를 추적하고 있어요. 별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유체 렌즈로 고화질 해저 이미지를 찍지요. 유체 렌즈는 파도가 만드는 왜곡을 제거해, 산호를 ... ...
[별헤는수학]
NASA
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시민과학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프로젝트죠. 원반 찾기의 기준은 ‘원’
NASA
연구팀은 원시행성계 원반을 찾기 위해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할 수 있는 모든 하늘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는 빛의 일종인 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그 빛을 포착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2035년 9월 북극 바다에서 해빙을 볼 수 없을 거라는 결과도 내놨다. 21세기 중반이라는
NASA
의 예측보다 최소 15년 이상 앞당겨진 예상치다. 북극은 지구의 기후를 조절하는 버튼으로 여겨진다. 지구온난화로 북극 버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북극 지역의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이에 따라 차가운 ... ...
[과학뉴스] 실가닥 뿜어내는 태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이 가닥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Hi-C 망원경을 한 번 더 발사할 예정이에요. 또
NASA
의 파커 태양 탐사선과 유럽우주국(ESA)의 태양궤도선이 수집하고 있는 자료와 종합해 이 가닥들의 발생 원인뿐 아니라, 이 가닥이 태양 폭발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볼 예정이랍니다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하루도 쉬지 않고 우주를 관측하고 있지요.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생일을 맞아 특별 웹페이지를 열고 그동안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일을 해 왔는지 볼 수 있는 영상과 사진 등을 공개 했답니다.그중 사람들의 생일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사진을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고작 140m를 이동하는 것과 달리, 마스 헬리콥터는 최대 초속 10m로 빠르게 이동해요.
NASA
는 드론의 날개를 분당 5000회로 빠르게 돌려 대기가 적은 화성에서도 날릴 계획이랍니다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인공위성 등에 센서를 달아 극지를 원격으로 탐사하고자 했다. 1960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최초의 기상 위성 타이로스(TIROS) 1호를 발사해 북극해 해빙을 처음으로 촬영했다. 그러나 영상에 담긴 건 대부분 자욱한 구름이었다. 북극은 1년 중 수개월 동안 해가 뜨지 않고 구름이 끼는 날이 많은데,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식물플랑크톤을 우주에서 바라보는 이유다. 우리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지구관측시스템 및 정보시스템(EOSDIS)을 구축하기 위해 운용 중인 테라(Terra), 아쿠아(Aqua) 등 해양관측위성에 탑재된 광학 카메라를 이용해 남극 바다의 색깔을 관측하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에 들어있는 광합성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