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당대
시대
그때
그당시
연대
세상
뉴스
"
당시
"(으)로 총 5,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1937년 7월 5일…스팸 출시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13
이게 바로 스팸입니다. (왼쪽부터) 스팸 박물관에 있는 스팸의 원형,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팸을 나눠 먹고 있는 병사들. Anon a mouse Lee / 유튜브 채널 'The Best Film Archives' 영상 캡처 스팸은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집니다. 영국군과 미군의 중요한 전투 식량으로 공급됐기 ... ...
물리학은 돈 안된다?…CERN 연구자들 "첨단테크의 시발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고심했다. ‘웹의 아버지’로 불리는 컴퓨터 과학자인 팀 버너스 리는 CERN에 근무할
당시
컴퓨터 간 정보 접근 용이성을 높이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월드와이드웹이라는 세계 첫 웹브라우저를 개발했다. 이후 과학자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고 오늘날 누구나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무릎까지 젖은 일이 그런 예다. 물에 빠져 익사할뻔한 것도 아닌데 왜 그럴까 싶겠지만
당시
안양천의 수질은 지금은 상상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물이 시커먼데다 악취가 진동했고 척추가 휘어진 기형 물고기가 나와 뉴스에서 다루기도 했다. 평소에는 안양천 근처에는 얼씬도 안 했는데 그날따라 ... ...
[화보] 이글거리는 '태양 항해하는 고래'…올해의 천문사진 후보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이 사진은 아이슬란드 아이스트라호른 산에 오로라가 찾아왔을 때 촬영된 사진이다.
당시
태양 표면에서 일어난 대규모 폭발의 영향으로 지구를 감싼 자기장이 교란되는 '지자기 폭풍'으로 오로라가 발생했다. 영국 왕립그리니치 천문대는 이 사진을 비롯해 ‘올해의 천문사진’ 2024년 수상작 ... ...
'인공 태양' ITER 2034년 첫 가동…에너지 생산은 2039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일본 등이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2010년에 계약이 체결돼 프랑스에서 건설이 시작됐다.
당시
2020년에 가동할 것으로 예상된 ITER 건설은 여러 어려움에 부딪히며 2016년에 가동 일정을 2025년으로 연장했다. 피에트로 바라바스키 ITER 사무총장은 3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기계의 복잡성, 제조상의 ... ...
"R&D 계속과제 비효율이라더니 예산 증액 위한 법률 자문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예산이 삭감된 과기부 R&D 계속과제는 175개다. 특히 R&D 계속과제는 2023년도 예산안 편성
당시
계획 대비 1조5655억원이나 삭감됐다. 이로 인해 일부 연구는 중단되기까지 했다. 황 의원은 “사실상 과기정통부는 내부적으로는 계속과제의 필요성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이유불문 ... ...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6.29
하지만 에디슨이 전등 사업에 뛰어든 1870년대에는 이 모든 것들이 없었다. 이는
당시
기반 시설이 잘 갖춰져 있었던 가스등과 큰 차이가 있었다. 가스등은 중앙에서 각 집으로 촘촘히 연결된 가스 공급망 덕분에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를 밝힐 수 있었다. 에디슨은 전구를 사업화하기 위해 전구를 ... ...
사직 전공의들, 퇴직금 소송…의협, 전공의와 비공개 간담회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지난 2월 집단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고 병원을 떠났다.
당시
의료계에서는 민법 등을 근거로 전공의들의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지나면 법적 효력이 발생할 것으로 봤다. 정부는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의료법에 따른 진료 유지 명령과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랑겔 섬에 고립된 뒤 6000년 간 살았던 매머드는 고립될
당시
최대 8마리에 불과했지만 20세대 만에 200~300마리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랑겔 섬 고립 현상이 매머드 개체군의 유전체에 미친 결과를 이해하기 위해 랑겔 섬의 털매머드 14마리와 고립 현상이 일어나기 전 본토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작은멋쟁이나비 무리를 발견했다. 작은멋쟁이나비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지만
당시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됐다는 학계 보고는 없었다. 나비들의 날개가 너덜너덜하고 구멍이 뚫린 점을 발견하고 탈라베라 박사는 이들이 아프리카에서부터 장거리 이동을 했다고 가정하고 연구를 시작했다. 우선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