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6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초저전력 전자코, 가스 식별·농도 측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종류와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자코’를 구현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
크기
의 히터 기반 반도체 가스 센서를 사용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센서즈’에 게재됐다. ■ 포스텍은 한세광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풍제약과 함께 ... ...
두개골 열지 않고 주사기로 뇌신경 센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주입할 수 있도록 했다. 수축했던 센서는 대뇌피질 표면에 도달한 후 복원되며 6~12mm
크기
로 확장해 뇌를 모니터링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동물 실험에서 뇌피질전도신호(ECoG)를 감지하고 뇌압, 뇌 온도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뇌전증, 파킨슨병 등 중증 ... ...
방학 끝 우리 아이도 혹시?…소아청소년 비만이 더 위험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교수는 “비만은 지방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지방세포 증식형 비만’과 지방세포의
크기
가 증가하는 ‘지방세포 비대형 비만’으로 나눌 수 있다”며 “한번 늘어난 지방세포 수는 살을 빼도 줄어들지 않으며 소아비만은 지방세포 증식형 비만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성인 비만으로 이어질 수 ... ...
"로봇·AI가 일할 때 사람은 쉬어야 할까"…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20일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체험해볼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이 전시돼 있다. 문세영 기자. 물건을 스캔해 형태와
크기
별로 분류하는 물류 로봇, 의료용 소프트웨어와 로봇팔 기술이 적용된 약사 로봇, 사람에게 위안이 되는 간호·돌봄 로봇,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위험을 감지하고 알리는 AI 관제실 등도 로봇이 인간의 ... ...
입자물리학의 70년 '요새' 최대 가치는 '다양성과 존중'
과학동아
l
2024.08.10
땄죠!" 혹자는 CMS가 자리 잡은 지하 공간을 중세 시대 성당이 들어오고도 남을 만한
크기
라고 표현한다. 어쩌면 CMS는 의미상으로도 성당에 가까운 곳일지 모른다. 성상 대신 검출기가 합창곡 대신 수많은 기계의 잡음이 들려온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이곳은 스위스 제네바 구시가지의 생 피에르 ... ...
"목소리가 이상해요" 음성질환 의심…목소리 줄이고 수분 섭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제공 목소리가 변하는 '음성질환'은 방치하면 안 된다. 전문가에 따르면 목소리
크기
를 줄이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음성질환을 예방하고 질환 발생 시 초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목소리는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키며 발생하는 공기 파동이다. 호흡기관과 발성기관 등의 모양에 따라 ... ...
[동물do감] 개구리가 내뿜는 '강력 접착제' 물 10리터 무게 견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상호작용해 접착력을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이 토마토개구리 점액으로 4x4칸
크기
의 장난감 레고 블록끼리 붙이고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 블록 사이가 떨어지지 않고 물 10리터의 무게까지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개구리 점액과 같은 생물학적 접착제는 앞서 거미의 실 등을 ... ...
주사 바늘로 수술없이 뇌질환 진단 '생분해성 전자 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작은 구멍을 통해 주사 바늘로 주입된다. 이어 두개골과 뇌 사이 공간에서 손바닥
크기
대면적으로 스스로 펼쳐져 뇌 전체를 덮는다. 진단이 끝난 후에 자연스럽게 체내에서 분해돼 사라지기 때문에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연구팀은 또 전자 텐트를 활용해 동물 모델의 뇌에 전극을 삽입하고 2주 ... ...
암 환자에 대변 이식했더니 면역항암제 효과 '업'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모델을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도 이 장내 미생물과 면역항암제를 같이 적용했을 때 암
크기
가 50% 이상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면역항암제에 내성이 생기면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지는 것과 같은데 면역항암제 내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해 ... ...
심장·뇌심부 생체 전자소자, 3D 프린팅으로 자유롭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소자를 제작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를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크기
의 콜로이드(혼합물) 형태로 만들어 3D 프린터 잉크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동성 등의 특성을 개선했다. 생체적합성에 문제가 되는 독성 물질은 원심분리 공정으로 미리 제거해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도록 했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