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고통"(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2013). 결코 적지 않은 수의 사람들이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으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관계적 폭력의 근원: 강압과 통제 흔히 폭력이라고 하면 신체적 폭력을 떠올리곤 하지만, 사실 이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학자들에 의하면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에 있어서 핵심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봉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성차별주의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가해자의 고통에 더 큰 관심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에게 대놓고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따로 있다고 믿는 우호적 또는 온건한 형태의 성차별주의자들(예, 여성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사망한 남성의 수보다 많다는 통계를 언급하며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사망하거나 고통받는 수가 어마어마한데 별로 주목 받지 않는 게 놀랍다고 지적한 바 있다 [4]. 세상은 이렇게나 많이 발전했는데 아직도 여성에 대한 폭력이 흔한 이유는 무엇일까? 허용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캐나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부인을 떠나보낼 수 없다며 매일 기도문을 외고 있던 남편 등 다양한 사람들이 고통과 싸우고 있었다. 나는 과연 무엇이 얼마나 특별해서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나에게는 절대 이런 일이 생기면 안 된다고 생각했던 걸까? 왜 나는 당연히 건강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걸까? 건강은 절대로 당연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것으로 이야기 된다. 누군가의 고통을 이해하고 배려심을 보이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고통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참고논문: Condon, P., Desbordes, G., Miller, W. B., & DeSteno, D. (2013). Meditation increases compassionate responses to suffering. Psychological Science, 24, 2125-2127. Hölzel, B. K., Lazar,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많은 사람들이 자기 품 안의 짐만 바라보며 내가 제일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고 나만 각종 고통을 당하고 좋은 일은 꼭 나만 빗겨 간다며 불만을 토로하곤 한다(Davidai & Gilovich, 2016). 심각하게 나만 ○ ○가 없다고 느껴질 때면 혹시 타인들에 대한 피상적인 정보만 가지고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닌지 ... ...
- 우리는 부족하기에 서로의 용기가 된다2017.11.14
- 나보고 약점 투성이라며 비웃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 것이다. 하지만 실은 모두가 나름의 고통을 안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는 다 같은 인간으로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 또 서로가 서로의 필요가 될 수 있다는 연대감을 준다. 이런 깨달음이 있을 때 서로 망설이지 않고 기댈 어깨를 내어주게 된다. ...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써선 안 된다’고 하면 설득력이 없는 법이니 말이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이 신체적 고통, 불안과 공포를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없애려는 방식의 교육은 별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Ferguson, 2013). 효과가 나타나도 공포 자극이 존재할 때에만 나타나는 등 ‘단기적’이고 (무서운 사람이 있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2008년 중국에서는 멜라민이 들어있는 분유를 먹은 수많은 아기들이 신장결석이 생겨 고통을 당했다. 5년 뒤 메커니즘이 밝혀졌는데 특정 장내미생물이 멜라민을 대사해 시아누르산으로 바꾸고 신장에서 멜라민(파란색)과 시아누르산(빨간색)이 만나 불용성 결정이 생겼다. - 위키피디아 제공 ●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짝을 이룹니다. 내집단을 선호하려는 경향은 어느 집단에서나 관찰됩니다. “내 형제의 고통을, 너의 죽음으로 갚아주겠다”라는 말은 괜한 엄포가 아닙니다. 인간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각 개인의 잠재적 근친계수를 판독해냅니다. 학연과 지연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애교심이나 애향심 때문이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