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스페셜
"
생명체
"(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인류 메신저’ 보이저 1호 태양계 떠났다
채널A
l
2013.09.16
각종 소리가 녹음된 황금 레코드판이 실려 있습니다. 남은 수명은 약 12년. 인류가 외계
생명체
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과연 전달할 수 있을까요.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inter/3/02/20130913/57652932/1 ... ...
안정성과 유전정보의 다양성 돕는 재조합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주형가닥을 선택하는 역할을 서로 다른 단백질이 한다는 것이다.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
생명체
의 유전자 재조합 기전이 유사하여 이러한 가닥 침투와 주형가닥 선택과정에 대한 이해는 유방암 원인유전자가 Rad51의 주형 가닥 선택 기전에 미치는 영향 등 전반적인 유전자 재조합 관련 연구에 기여할 ... ...
미래 환경산업
KOITA
l
2013.08.08
빛 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의 결과물이 수십억 년 동안 축적된 것에 다름 아니다. 모든
생명체
는 식물의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산물을 기본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은 에너지 자원 확보와 생태계 보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하여 메탄가스,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여기서 잠깐 일주리듬의 개념에 대해 오해할 수 있는 면을 언급한다. 즉 일주리듬은
생명체
가 밤낮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환경에서 수십억 년 동안 적응하면서 갖게 된 내재적인 생체리듬으로 외부 신호(낮과 밤)가 사라져도 여전히 유지된다. 즉 하루 종일 불이 켜져 있는 실내에서 생활해도 몸은 2 ... ...
생명과 문명의 근본 물질 고분자(高分子)
동아사이언스
l
2013.07.12
구조를 나타낸다. 여러 아미노산이 결합한 단백질 역시 특유의 3차원 구조를 보이며
생명체
내에서 물리적 화학적 반응에 직접 관여하거나 촉매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고분자가 생명 뿐 아니라 현대 문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일례로 우리가 항상 입고 있는 옷부터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약물이 모든 인산화효소를 다 방해하면
생명체
가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화학자들은 열심히 화합물을 합성했고 생물학자들은 이를 암 모델 동물에 적용해 약효와 부작용을 조사했다. 5년여에 걸쳐 만든 화합물 가운데 CGP-57148B라는 일련번호를 ... ...
세포 공장 만드는 '바이오디자인'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6.07
유전체 지도가 나오고 유전자와 단백질 간의 연결 과정이 밝혀지면서 과학자들은
생명체
를 이용해서 원하는 물질을 만드는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기존 생명과학 기법으로는 생산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미 이론적 한계치의 90%에 이르러 남은 10%를 두고 경쟁하는 상황이라는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은 나노입자는 유해 미생물에 대해 우수한 효용을 나타내지만, 외부로 유실되면
생명체
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은 나노입자는 작을수록 독성이 심하며, 입자와 이온이 모두 효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유해 미생물 제거 연구는 20 nm 이하의 단위 나노입자에 집중되어 ... ...
대기 중 CO₂ 농도 400ppm, 지구 온도에 빨간불!
KISTI
l
2013.06.03
위험한 지점을 넘어서고 말았지만 아직 완전히 늦지는 않았다. 지구와 지구상 모든
생명체
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는 결말을 맞을 수 있도록 오늘부터 지구 살리기에 동참하는 건 어떨까. 반세기 세월을 하와이 화산 위에서 묵묵히 CO₂ 농도를 측정한 킬링 박사가 꿈꾼 건 어쩌면 매번 ... ...
"법에 매달리다 보니 배아줄기세포 연구 뒤쳐지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만드는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다. 8세포기 배아에서 떼어낸 할구 하나는 아무리 배양해도
생명체
로 자랄 수 없기 때문에 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렇지만 국내법은 수정에 실패한 난자나 수정을 포기한 난자 등 ‘잔여배아’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교수팀이 사용한 ... ...
이전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