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스페셜
"
식물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硏 개발 바이오플라스틱·다공성소재, 엑티브온·일광폴리머에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술이다. 화학연 바이오화학연구센터가 주도해 개발했다.
식물
성 성분의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로 강철보다 강하고 300도가 넘는 고열에도 잘 견디는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었다. 이은경 일광폴리머 대표는 “화학연과 협력해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플라스틱을 ... ...
"똥본위화폐로만 입장권 살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이렇게 분리한 이산화탄소는 녹조류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고 이 녹조류를 짜내면 나오는
식물
성 기름을 화학 처리하면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 디젤로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의 하루 용변량을 200g이라고 보면 100명가량의 인분을 모으면 18명이 온수 샤워를 할 수 있는 에너지가 나온다. 이렇게 생산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존재했다. 생합성 반응이 제대로 일어났다는 말이다. 이 연구결과는 1997년 학술지 ‘
식물
저널’에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연구자들은 다음 단계로 배젖에서 라이코펜까지 합성하는 벼와 베타카로틴까지 합성하는 벼를 만들기로 했다. 수선화에서 파이토엔은 두 단계를 거쳐 라이코펜으로 바뀌고 ... ...
[애니멀리포트]버려진 웅담채취용 사육곰에게 해먹을 선물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23
곰들은 과일이나 벌레, 어린 나뭇잎을 먹고 산다. 하지만 사육곰들은 주로 개 사료나 음
식물
찌꺼기 등을 먹는다. 게다가 야생에서 곰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를 찾으며 보내지만 사육곰은 하루에 한 번, 짧은 시간 안에 먹이활동이 끝나기 때문에 많은 시간 지루하게 보내야 한다. 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사이키델릭이 2000년대 들어 과학의 힘을 빌어 무대로 돌아오고 있다. 폴란이 ‘욕망하는
식물
’에서 대마초를 다루고 17년이 흐른 지난해 FDA는 대마초 의약품을 승인했다. 작년 폴란의 책이 나온 뒤 사이키델릭 의약품이 나올 때까지 걸릴 시간은 이보다 짧지 않을까. 며칠 전 우연히 ‘진중권의 ... ...
[프리미엄리포트]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
과학동아
l
2019.11.09
남자 청소년 흡연자 중 68.3% 가향담배 피워 본디 담배 연기는 굉장히 독하다.
식물
의 잎을 태운 연기를 그대로 빨대로 흡입한다고 생각해보라.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담배에서는 그런 거부감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담배는 갖가지의 유혹적인(?) 맛으로 뒤덮여 있다. 담배를 거부감 ... ...
잘 나가던 국제공동연구센터는 어떻게 1년만에 '유령'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1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애꿎은 연구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
식물
' 상태가 된 상태를 해소하고 기관과 연구자들이 정상적으로 연구를 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로 다른 나비가 닮아 보이는 이유 '유전자 흐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따라했는지 분명하지가 않다. 미국 하버드대 유기및진화생물학과와 브리검영대
식물
및야생과학과, 영국 얼햄연구소 노리치연구공원,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대 생물학과 등 공동연구팀은 서로 다른 두 종의 나비가 같은 무늬를 갖게 된 주요 원인을 '유전자 흐름'에서 찾았다. 유전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사체가 알려주는 녹색
식물
의 진화과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02
리벤스맥 교수는 “높은 품질의 전사체 정보가 늘어나고 유전학 기술이 발달하며 녹색
식물
에 대한 전주기적 진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기후변화로 쌀 발암물질 두 배 늘어나고 수확량 절반 가량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발견했다. 기후변화로 쌀이 비소를 더 많이 흡수하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이다. 비소는
식물
의 영양소 흡수를 억제하고 성장과 발달을 막는다. 쌀은 기존 자연 흡수량보다 최대 2배까지 비소를 흡수했고 낱알 등 곳곳에 비소가 축적됐다. 이로 인해 쌀이 제대로 성장하지 않으면서 쌀의 수확량도 40%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