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는 도구사용에 있어 침팬지와 막고대 그리스의 작가 이솝은 동물을
등장
시켜 세상을 풍자한 우화를 많이 남겼다. 그 가운데 까마귀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 두편을 보자.상막하다. 이 녀석들은 자연상태에서 나뭇가지를 이용해 나무줄기의 구멍 속에 들어있는 애벌레를 꺼내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만한 것부터 사람 만한 크기의 경비 로봇이 많이 나와 있다. 일본에는 현금수송로봇까지
등장
했다. ‘로보캅’이라는 이름의 이 로봇은 탱크처럼 무한궤도로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고, 현금 강탈범을 잡는 고압전류 발생장치와 그물 발사 장치까지 달려 있다.그럴듯한 휴머노이드가 2개 나왔다고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도서관측은 인터넷 서비스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다. 사실 NIH는 이미 1960년대 컴퓨터의
등장
과 함께 의학 정보의 전산화에 힘써왔다. 컴퓨터를 이용한 의학 지식의 소통에 일찍부터 눈 떴던 것이다.도서관이 운영하는 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 ‘펍메드’(PubMed)는 세계 보건 의학의 지식 창고로서 ... ...
성냥개비 기하학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알려져 있다. 세월도 세월이지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베스트셀러 소설 ‘개미’에
등장
한 덕분에 더욱 유명해졌다.문제의 정답은 정사면체를 만드는 것이다. 거의 모든 성냥개비 퍼즐이 평면 위에서 뭔가를 만들어 내는 데 비해, 입체 도형을 생각해야 한다는 점에서 대단한 발상의 전환을 필요로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큰고니를 배경으로 달구지 위에 새가 내려앉는 장면을 스케치했다. 그런데 때마침
등장
한 따오기가 정말 달구지위에 내려앉는 게 아닌가.그러나 늘 이렇게 운이 좋은 것은 아니다. 이런 장면을 찍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덕목은 ‘인내’다. 뉴욕의 장면을 찍기 위해 촬영허가를 받고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모든 차원의 브레인들이 총 출연하는 교향곡으로 확장됐다.이러한 M이론과 브레인의
등장
으로 끈이론은 제2의 혁명기를 거치게 됐다. 당시에 필자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구를 했을 정도로 초끈이론에 대한 열기는 제1혁명기보다도 더했다.당시 최대 성과는 스트로민저와 바파가 끈이론으로부터 ... ...
흡수식에 완승 거둔 응축식 냉장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처음부터 냉장고는 응축식 냉장고밖에 없었을까? 그렇지 않다. 냉장 기기들이 처음
등장
하기 시작한 19세기에는 다른 방식이 있었다. 액체의 기화와 응축으로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반드시 응축기가 있어야 할 필요는 없었다. 냉매를 가스 불꽃으로 기화시킨 뒤 그 기체를 물과 같은 특정 액체에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유명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민코프스키의 시공세계로 불린다. 물론 민코프스키의 상대론
등장
이전에 이미 전자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으로 구성되는 4차원 좌표를 사용한 사람이 있었다. 프랑스의 유명한 과학자였던 푸앵카레였다. 하지만 푸앵카레는 4차원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맞추거나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조리방법을 알려주기도 한다.얼마뒤 좀더 발전한 형태로
등장
한 것이 ‘미스터 자바’로 불리는 커피메이커다. 컵 주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취향에 맞춰 커피를 내려먹을 수 있다. 또한 빈 커피 잔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미스터 자바 ... ...
정신병은 어떻게 치료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불안감을 보이는 환자는 심리치료를 받았다.1980년대에 우울증 치료제인 프로작이
등장
하면서 우울증이나 불안감뿐만 아니라 통증이나 고통도 뇌의 화학물질에 따른 작용으로 해석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뇌 화학물질을 조절하는 약물치료법이 1990년대 들어 활기를 띠게 됐다. 지금도 세계적으로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