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없는 환경에서 제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펩티드 젤은 줄기세포치료를 비롯한
미래
의 세포기반 치료에 널리 쓰일 전망이다.단일 결정에 패턴을 만드는데도 자연의 상향식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마이크로 렌즈를 비롯해 단일 결정 소자는 전자와 광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데 그 제조방법이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마치고 그는 1998년 귀국해 LG전자에서 CTO라는 중책을 맡았다. 당시 LG는 디지털TV를
미래
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우수두뇌를 스카웃하는 중이었는데 ‘디지털TV의 아버지’를 모셔왔으니 그야말로 횡재를 한 셈이었다.귀국한 그가 세운 가장 큰 공은 디지털TV와 PDP에 연구 역량을 집중해 시너지 효과를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로봇을 개발해 화제가 됐었다.(과학동아 10월호 참조)천막 안의 전시물들이 움직임의
미래
를 보여줬다면 천막 밖에는 움직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자전거를 타거나 운동화를 신고 움직일 수 있어 무엇보다도 어린이들에게 인기 만점이었다. 물론 그냥 자전거와 운동화는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노약물전달시스템 등 다른 부속품이 개발되고 통합돼야만 가능하므로 아직까지는 먼
미래
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1초에 8번 회전하는 나노프로펠러 우리는 항상 작은 것에 관심을 갖고 있다. 크기가 작지만 모든 것이 집적돼 그 기능을 충실히 하는 기계가 만들어지거나 만화 드레곤볼의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직접 이용하는 1차산업의 틀에서 벗어나 첨단바이오기술과 접목되기 시작하면서 차세대
미래
성장산업으로서 곤충산업의 성장가능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용된 곤충들옛 조상들은 전통적인 생약으로 곤충을 애용해왔다. 약용곤충의 사례는 매우 다양하며, 그 효능과 유효성분을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맘껏 할 수 없다. 전력생산의 40%를 차지할 만큼 원자력의 의존도가 높아 어떻게든
미래
에너지를 확보하려면 핵관련 연구활동의 폭이 넓어져야 할 판이다. 신재인 전 원자력연구소 소장(현 한국핵융합협의회 회장)은 “이번 일을 기회역전으로 삼아 우리의 핵관련 연구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먼저 탐지레이더로 적기를 포착하고 추적레이더로 뒤쫓으면서 전자계산장치로 적기의
미래
위치를 자동으로 예측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방식이다회전방향에 직각으로 카커스(carcass)의 코드(code)를 배열한 타이어 휠(wheel)을 중심으로 코드가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처음에는 프랑스에서 타이어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생겨 태양계와 비슷한 천체들이 탄생한다.충돌하는 은하를 관측하는 것은 우리은하의
미래
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은하도 수십억년 뒤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할 운명이기 때문이다.찬드라가 바라본 태양계 풍경 이제 찬드라의 앵글을 태양계로 돌려보자. X선 망원경에 포착된 태양계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경단지에는 이곳보다 2배나 큰 풍차 4대가 돌아가고 있다. 제주도청 김동성 사무관(
미래
산업과)은 “제주도의 풍속은 평균 초속 7.1m로 육지보다 경제성이 앞선다”며 “2011년까지 제주도 전력의 10%를 풍력으로 충당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제주도, 백두대간에 풍력 열풍제주도의 성공에 자극받아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핵융합 개발의 당위성을 화석연료의 고갈보다는 기후변화에 더 두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미래
에너지로서 탁월한 후보감인 핵융합은 발전이 느리게 진행돼 왔다. 핵융합은 20세기 초반에 개념이 처음 등장했고 미국과 옛소련이 1950년대 연구하기 시작됐다. 핵분열 방식인, 현재의 원자력이 이미 널리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