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프로그램이지요. 드론 기술팀은 먼저 드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
해 드론들이 언제, 어디에 위치할 것인지 치밀하게 프로그래밍해요. 각 드론들이 움직일 최단 경로를 공식으로 만들고, 그 과정을 자동화시키는 거지요. 하지만 드론들을 프로그래밍한대로 띄우기만 해선 제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5월 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학 모델을
이용
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태양이 가스를 방출하는 속도가 기존 모델로 예측한 값보다 약 3배 빨랐다. 이는 태양처럼 질량이 작은 별도 행성상 성운을 형성하기 쉽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희미하지만 관측할 수 있는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시스테인 연결 부위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되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
해 혈관부종과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 후보물질 개발에도 성공했다. 권영근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시스테인의 위치와 다리를 이루는 물질을 바꿔 다양한 펩타이드를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공동 연구팀이 전기모터 대신 물을 채운 인공근육을
이용
해 소음이 없는 뱀장어 로봇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수중 로봇은 대부분 프로펠러가 장착된 전기모터로 움직였다. 전기모터가 돌아가면서 소음이 발생해 해양생물을 놀라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결과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 셈”이라며 “두 연구 모두 얇게 자른 뇌 조직에 항체 마커를
이용
해 간접적으로 관찰한 만큼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과정에서 남은 물질인 피치와 나무 껍질을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물질인 리그닌 등을
이용
해 탄소섬유를 제조하면 제조 원가를 기존보다 약 50%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했다.양 교수는 “피치와 리그닌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어 화학적 특성도 유사하다”며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
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
해본 연구자들은 하나같이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성능을 칭찬한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와 양성자가속기, 그리고 중이온가속기는 연구에서 시너지를 낸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가속기 건설에 ... ...
[Culture] 물 분자와 기름의 자리 교체 ‘치느님’ 프라이드 치킨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치킨이나 고구마튀김, 오징어튀김처럼 바삭하게 튀길 때에는 발연점이 높은 기름을
이용
해 약 180도에서 튀기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기름이 흠뻑 스며들도록 150~160도에서 튀겨야 하는 약과나, 160~170도에서 튀기는 깻잎 등 야채는 이보다 발연점이 낮은 기름을 사용해 빠른 시간에 튀기는 것이 ... ...
기하학 입은 패션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또, 색다른 모양으로 접어 독특한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삼각형이라는 기본 도형을
이용
해 만들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그림을 입는 방법은? 도화지 위에 그린 그림을 보고 입어봐야겠다고 생각한 적은 당연히 없을 겁니다. 하지만 입체파 대표화가 파블로 피카소의 ‘상상할 수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이 오직 15가지밖에 없다는 사실을 컴퓨터를
이용
해 증명했으니 라이스는 칼 라인하르트를 빼면 수학자들보다 테셀레이션을 더 많이 찾은 셈이에요. 슈퍼컴퓨터를 쓴 것도 아닌데 수학자를 앞섰다니 대단하죠? 독학한 아마추어 수학자가 어려운 문제를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