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식
하느님
군
현
주님
주예수
주간
d라이브러리
"
주
"(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각막표면을 깍아내는 방법으로 근시나 난시를 교정하기도 한다. 엑시머레이저가
주
로 쓰인다.레이저칼(메스)로 외과수술을 하는 장면. 레이저는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정확성을 발휘한다. 사용되는 레이저는 이산화탄소레이저 또는 ... ...
동물체 내에 유전자
주
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에 있는 듀크대학의 과학자들은 그동안 식물세포에 DNA를 직접 집어넣는 유전자총을 개발해왔는데, 최근 이를 개량해 살아있는 새앙쥐의 채내에 유전자 ... 유전자 존재가 중요하다. 존스톤은 유전자총이 동물의 피부에
주
는 외상이나 자극은 전혀 없다고
주
장한다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정제된 순수한 물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장에 쌓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해
주
면 변비는 물론이고 다른 질병까지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반대의 목소리 또한 만만찮다. 고려대 의대 박영대교수(내과)의 얘기를 들어보자."장세척은 그동안 대장의 내시경검사나 X선검사를 용이하게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603년 조선에는 새로운 세계지도가 전래됐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1602년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 서울대 박물관에 남아 있어, 조선시대 지도 판각(板刻) 기술의 높은 수준을 그대로 말해
주
는 귀중한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갈라진 틈
주
변의 온도는 해양의 평균온도에 비해 4백℃나 높다. 게다가 열수배출구
주
변에 쌓인 동물의 수도 바이칼호가 해양보다 훨씬 적다. 연구자들은 이 두가지 사실을 묶어 한가지 추론을 이끌어냈다. 바이칼호의 열수배출구는 이제 유년기라는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활약하고 있지만 초기의 로봇은 거의 전적으로 군대에서만 사용됐다. 1960년대 초반 해군
주
도하에 최초로 개발된 심해용 로봇은 TV카메라 정지사진 카메라 음향시스템 집게등을 갖추고 있었다. 1965년 이 로봇은 2백40m 깊이에 가라앉아 있던 대포를 건져올렸고 66년에는 수심 6백93m 깊이의 스페인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우리와 비교할 수 없을만큼 많은 표본을 갖고 수준높은 연구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데
주
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북한의 동식물 연구나 남북한 비교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합니다. 오늘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남북간의 연구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합니다 ... ...
성 호르몬 과다가 불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LH가 과다로 측정된 여성들의 유산율은 정상의 4배에 달했다.특정 성호르몬의 이상(異常)과잉이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라는
주
장이 최근 영국의 한 의학연구 ... 관한 최초의 고찰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불임문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생리
주
기 후반기에 초점으로 두고 진행됐다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
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별도. 계획확정부터 완공까지는 3년이나 걸렸다.한편 올 6월에는 경희대 수원캠퍼스 우
주
과학과에 30인치 반사망원경이 설치될 예정이며, 세종대에는 이미 30인치 반사망원경을 들여왔으나 학내 분규 때문에 상자속에서 썩고 있는 실정.서울대 천문학과 이시우교수는 "국립대학에서 20인치 이상은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질식해서 죽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갓 태어난 새끼는 곧바로 젖을 빨기 시작하고, 2
주
일이 지나면 수영을 익혀 어미를 따라다닌다. 이때 어미의 앞지느러미(앞발)나 등지느러미에 붙어다니기 때문에 마치 손을 잡거나 '엄마'에게 매달린 것 같은 모습이다.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오징어 등 물고기를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