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도 이기는 프랙탈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나뉜다. 이런 패턴이 줄기 끝부분까지 수차례 반복된다.프랑스 에콜폴리테크닉 물리
학과
베르나르 사포발 교수팀은 해안이 파도에 의해 침식되는 과정을 컴퓨터에서 재현했다. 바위의 물성을 지닌 매끄러운 물체의 표면에 파도를 때리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자 곧 표면의 일부가 떨어져나갔다.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생기는데 훨씬 긴 기간이 필요할지 모른다.이런 의문에 대해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유전
학과
그레고리 바시 교수는 “우리는 아직까지 피부색을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구성에 대해 거의 아는 바가 없다”고 말한다. 다만 최근의 연구 결과 피부색의 발현에는 생각보다 적은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생물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
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시각 또는 어떤 장소에서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지난 6월 경북 경주시 충효동 김유신 장군 묘 근처의 아파트 단지가 발칵 뒤집혔다. 밤마다 “히이∼”하는 기분 나쁜 소리가 들리는 것이다. 귀신이 흐느껴 우는 듯한 소리에 밤잠을 설치던 주민들은 급기야 경찰에 신고했다. 이리저리 수소문하고 조사를 거듭하던 경찰은 결국 소리를 수집하는 전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말이다. 달팽이처럼 천천히그러나 뚜렷하게 자신의 족적을 남겨온 권오길 교수. 생물
학과
더불어 산 그의 일생이 시가 되고 소설이 될 날이 머지 않은 듯하다 ... ...
통증에 대한 뇌 반응 남녀 달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구결과가 ‘위장병학’지 최신호에 실렸다.최근 미 캘리포니아대 정신생물행동
학과
브루스 낼리보프 박사팀은 과민성대장증후군 여성환자 26명과 남성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복통이 나타날 때 뇌의 반응을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했다.실험 결과 남녀가 통증에 대해 같은 반응을 보이는 뇌 부위들도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2일자 ‘사이언스’에는 늑대와 강아지를 비교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미 하버드대 인류
학과
브라이언 해어 교수 연구팀은 사람이 기른 늑대와 태어난지 불과 몇달 지나지 않은 강아지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음식물을 숨겨놓고 눈짓, 손짓, 살짝 건드리기 등의 힌트를 줬다. 그 결과 사람과 거의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하고 있다.그는 1990년 과학의 철학적 기반과 이를 사회, 윤리의 문제로 연결시킨 ‘과
학과
메타과학’을 냈으며, 1998년에는 ‘삶과 온생명’을 출간해 본격적인 온생명 사상의 전도사로 나섰다.이 공로로 2001년 성균관대 심산사상연구회가 수여하는 제14회 심산상을 수상했다.꿈‘아인슈타인이 되실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화학회사 ICI의 지원으로 감각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영국 옥스퍼드대 실험심리
학과
찰스 스펜스 박사는 최근 제출한 결과 보고서 ‘감각의 비밀’에서 감각의 결핍은 현대사회의 질병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스펜스 박사는 “우리는 몸을 쓰는 야외 생활에서 멀어져 하루의 90%를 실내에서 ... ...
갑자기 사라진 김봉한과 봉한학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한의학을 강조하며 그 발전을 모색했다. 과학원에 동방의학연구실을 설치하고 한의
학과
양의학을 통합하며 한의학을 과학화하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던 것이다. ‘사회주의 과학’의 새로운 분야로 한의학이 인정을 받으며 활발히 연구됐다. 이때 중심 연구과제로 떠오른 것이 경락의 실체를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