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로봇을 만들고 싶으세요? 정호 : 첫 번째로 도전하고 싶은 건 물류 로봇이에요. 코로 나19 이후로 물류량이 엄청나게 늘었잖아요. 선반에서 물건을 꺼내서 포장해주는 협동로봇이나 아파트 입구에 배달된 택배상자를 현관까지 날라주는 로봇 같은 다양한 로봇들을 만들고 싶어요. 화단이나 계단을 ... ...
- [긱블 X 과학동아] 오늘 테슬라 주식은 떡상? 떡락? 일론 머스크 돈 복사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과학동아 X Geekble 합작 캠페인Just Imagine!일단 상상해 봐!과학동아와 긱블이 함께하는 2021년 캠페인 슬로건입니다. 우리 모두 너무 어렵게 생각 말고 일단 떠올려 보고, 만들어 봐요! 사이언스 보드에 작품이나 실험 아이디어를, 또는 긱블 네이버 카페에 직접 만든 작품을 올리면 매달 가장 ... ...
- '탄소 저감 실패 우려국가' 오명 씻으려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풀이된다. 대선 공약이었던 에너지 전환과,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 극복 전략으로 제시한 ‘그린뉴딜’의 연장이기도 하다.2050년 탄소중립을 이룩할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실현할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미래 기술과 사회 ...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경험과 이야기를 놀라운 방법으로 선사하면서 말이다. 나만의 과학동아 활용법 Q1 과학동아 구독기간은?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 때까지 매월 과학동아가 나오는 날 서점에 직접 가서 구매했다. 구매한 당일 밤에는 첫 장부터 마지막까지 한 글자도 빼지 않고 정독했다. 특히 우주에 ... ...
- [수학뉴스] 한반도 해양쓰레기는 북태평양 환류대로 간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해류의 흐름에 따라 태평양(2곳)과 대서양(2곳), 인도양(1곳) 등에 위치한 5대 환류대의 중심부로 흘러갑니다. 각 환류대의 중심이 쓰레기 더미로 불리는 이유입니다.최근 필립 마이런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대기과학부 교수팀은 위성데이터를 반영한 전이경로이론(TPT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127.16°, 위도 36.987° 지점을 구글 지도에서 검색하면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승두리 680-1번지가 나온다. 비행기는 인천국제공항을 향해 가고 있었기 때문에 진행 방향으로 3km 떨어진 곳을 찾으니 대략 경기도 평택시 죽백동 658-2번지였다. 그런데 시지프스 속 태술은 “김포?”라는 말을 외치며 김포로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대세인 물멍을 해보려고 시도한 마리모 키우기! 정말 간단하고 귀엽죠? 마리모는 가격도 1만 원 이내로 저렴해서 부담 없이 키울 수 있어요. 하비맨의 좌충우돌 취미 리뷰는 다음 호에도 계속됩니다. 쭈욱~ ... ...
- [오일러프로젝터] 뭉쳐서쏠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0(=9!)개입니다. 1 또는 2로 시작하는 순열 역시 각각 36만 2880가지로 같죠. 첫 자리가 0 또는 1인 순열의 가짓수는 총 75만 2760(=36만2880×2)가지이고, 첫 자리가 0 또는 1, 2인 순열의 가짓수는 총 108만 8640(=36만2880×3)가지입니다. 따라서 100만 ...
- [특집/부록] 레고로 더 풍부해진 플랜테리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m-UgMGfUxPzOGsZ7n-eo5KJaJoYzimvA_g/viewform 응모 기간2021년 4월 14일(수) 자정까지 당첨자 발표2021년 4월 16일(금) 오전 10시 (사이언스 보드 홈페이지 공지 게시판) 책상 위에서 3개월째 키우고 있는 반려식물이에요. 과학동아 4월호 특집을 읽고 ...
- [그래프뉴스] 10대, 성희롱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피해는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와 같은 잘못된 인식을 담은 문항에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6점)’ 사이로 답하게 했습니다. 점수가 6점에 가까울수록 성희롱에 대한 이해가 낮은 걸 뜻해요. 그 결과 점수가 가장 높은 건 60대 이상 남성(3.10점), 그다음은 10대 남성(3.07점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