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과학동아 l2004년 02호
- 황금양피를 찾아 떠난 그리스 영웅들이 탔던 배 아르고호에서 유래됐다.아르고자리는 18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 라카이유에 의해 4개의 별자리로 분리됐다. 용골자리, 고물자리, 돛자리, 나침반자리가 그것이다. 고물자리는 아르고호의 끝부분으로 이뤄진 별자리다.별들이 모래처럼 깔려있는 M4 ...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과학동아 l2004년 02호
- 조치를 취하고 있다.퀸 메리 2호의 등장은 호화유람선의 부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20세기초까지 배는 가장 핵심적인 장거리 교통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크기, 속력 등을 경쟁하면서 눈부시게 발전했다. 그러나 비행기가 등장하면서 배는 장거리 여객수송에서 경쟁력을 완전히 잃게 됐다. 현재 ...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과학동아 l2004년 02호
-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록스 팔로알토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와이저 박사는 ‘21세기의 컴퓨터’라는 자신의 논문에서 “미래의 컴퓨터는 지금처럼 독자적 형태의 컴퓨터가 아닌 사람이 그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는 형태로 생활 속으로 들어간다”고 미래의 컴퓨터 환경을 예상했다. 모든 ...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과학동아 l2004년 02호
- 앉아있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사무실에서는 이런 데스크탑 컴퓨터가 사라질 것이다.20세기 전반의 사무실에는 2가지 필수적인 기계가 있었다. 계산기능을 담당하는 주판과 문서기능을 담당하는 타이프라이터였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수십대의 타이프라이터가 힘찬 소음을 내는 곳이 에너지가 ...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월은 근대 과학의 창시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에게는 뜻깊은 달이었다. 자신의 망원경으로 세기적인 발견을 이뤘기 때문이다.1609년 5월 어느날 갈릴레오는 그의 동료인, 베네치아 정부 자문을 맡고 있던 수학자 파올로 사피로부터 한장의 편지를 받는다. 거기에는 한 네덜란드 사람이 쌍안경(spyglass)을 ...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시계의 정확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인류 문명도 더불어 발전해 왔다.인류의 역사에서 16세기 무렵은 신대륙을 찾아 나섰던 대항해 시대였다. 배를 타고 망망대해를 여행할 때 배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와 달, 별의 위치를 관측하는 것이었다. 당시 남북 방향으로 여행할 때는 ...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기원전 12세기부터 길쭉한 모양의 선형문자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기원전 8세기경 유입된 페니키아 알파벳으로 완전히 대치된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투스의 저서인 ‘역사’에 따르면 카드모스라는 페니키아인이 그리스에 알파벳을 전해줬다. 페니키아인 선생 앞에서 그리스인이 페니키아 ...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과학동아 l2004년 01호
- 통신 시스템, 원격제어와 같은 다른 여러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21세기 실제상황, 스타워즈 2020년 1월 2일. 테러국가가 공격용 대륙간 탄도탄에 연료를 주입하고 있는 장면을 아군의 정찰위성이 포착했다. 우주사령부는 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국방부에 전달한 다음 대륙간 탄도탄 ...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들겠지만, 배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불도 무서운 존재다. 남극은 바람이 세기 때문에 불이 더 무섭다. 국제지구물리관측년(IGY)이었던 1957년 8월 러시아 미르니기지에서 전기사고로 생각되는 화재가 발생해 건물 한채가 타고, 8명이 희생됐다. 당시 눈앞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초속 30-40m의 ...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25일이 가장 많았다.이렇게 서로 달랐던‘설날’이 1월 1일로 통일되기 시작하는 것은 16세기에 그레고리우스력을 채택하면서부터다. 하지만 동시에 관습이 바뀔 수는 없는 노릇이었으므로 한 나라씩 차례로 바뀌다가 1918년에 러시아가 마지막으로 1월 1일을 새해의 출발점으로 정했다.▼관련기사를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