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좋으며 과학적인 창조의 피를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대학 시절 그는 고려와 조선
시대
에 화살을 장착한 로켓인 신기전이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후에는 세종 때 편찬된 문헌에서 신기전의 설계도까지 찾아내 국내외 학계에 보고했다. 이것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옛 로켓 설계도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X선, 감마선, 태양풍 등은 지구 대기에 막혀 지상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주
시대
의 개막과 함께 1960년 초부터 우주공간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태양관측이 시작됐다.태양 표면에서는 여러가지 활동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수초만에 발생해 사라지는 것에서 수일에 걸쳐 일어나는 것까지 ... ...
버뮤다 삼각지대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불가사의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말이다.한편 버뮤다 삼각지대에서는 콜럼부스
시대
이후 끓는 물과 어지러운 반구형의 물기둥이 보고되곤 했다. 1963년 이 지역을 지나던 팬 아메리칸 제트비행기의 조종사는 케네디 비행장 크기의 반구형의 끓는 물기둥을 보았다고 보고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대한 예산을 늘리겠다는 말은 새로운 공약도 아니고 다가오는 21세기 무한경쟁
시대
에 어쩌면 ‘당연한’ 공약인지도 모른다. 이번 대선에서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과학기술 예산과 정책에 대한 평가제도의 도입이 최초로 언급되고 있다.노 후보는 과총 포럼에서 “예산의 확대는 물론 과학기술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있는 지역이 대접받고 있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청계천 복원이 제1공약이 된 것도 이런
시대
적 흐름을 반영한다.그러나 자연의 희생 위에 이룩된 현대문명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까. 또 인간과 자연이 공존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이제 막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발달과 함께 바이오일렉트리닉스센서(bioelectrinics sensor)라는 새로운 생물감지기의
시대
가 열렸다생체(生體)에 미치는 날씨 · 기후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생체로서는 인간 · 동물 · 식물이 해당된다 생물 기상학의 개념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955년 파리 국제생물기상학회의 제1회 ... ...
바이오 인포매틱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생명공학의
시대
라는 21세기를 맞아 생명공학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변화를 몰고온 중심에는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낯선 학문이 자리잡고 있다. 생명과학과 정보과학의 화려한 만남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찾아와 생명공학의 차세대 주자로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는 바이오인포매틱스가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엄청난 양의 정보가 널려있다. 바이오인포매틱스가 뜨게 된 두번째 이유는 포스트게놈
시대
를 맞아 생명체가 갖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신약개발에 유용한 도구바이오인포매틱스가 생명공학계의 최대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실제 활용과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과학에 머물러 있을 때나 어느 정도 현실 유관성이 있지, 오늘날과 같이 산업화된 과학의
시대
에는 현실로부터 멀어졌다”며 “이제는 좀더 적극적으로 과학자의 양심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방식은 바로 과학정책에 의한 과학자의 통제. 바로 현대 과학자가 처한 또다른 ... ...
기술자도 노벨상 받는
시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일본인 다나카 고이치 연구원은 학부 출신이기 때문에 더욱 세인의 관심을 끌었다. 보통 노벨상은 박사나 교수가 수상하는 줄 알았는데, 어떻게 학부 출신이 받았을까. 이전에도 박사 학위가 없는 사람이 노벨상을 받은 적이 있을까. 최근 노벨상의 수상 경향이 바뀐 것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