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놀이 테마파크 ‘ 가리비안 베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이
게
웬일? 자판기에는 워터 슬라이드를 통과할 때 찍힌 썰렁홈즈 사진이 붙어 있는
게
아닌가! 황당한 썰렁홈즈 앞에 어느새 가리비 또가리가 나타나 말했다.“가리비안 베이는 자판기도 특별합니다. 자, 여기 손님 사진이 있죠? 이 사진들을 순서대로 놓아 보세요. 그러면 음료수가 공짜! 못 풀면 못 ... ...
보아뱀이 먹이를 먹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안녕? 나는야 어과동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 난 매일 지구를 정복할 방법을 궁리하지. 요즘은 내 지구 정복을 도와 줄 지구의 동물을 찾고 있는데, 쉽지 않네. ... 다른 뱀들과도 전혀 만나질 않는답니다. 무슨 일 때문인진 모르겠지만, 저는 혼자 노는
게
좋으니 저를 찾지는 말아 주세요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최고 기록을 세웠답니다. 송원준 도전자는 “아무런 장식 없이 자동차를 튼튼하
게
만든
게
승리의 비결인 것 같다”고 밝혔어요. 과연 다음 대결에서는 섭섭박사님이 연패의 늪을 탈출할 수 있을까요? 흥미진진, 웃음만발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다음 편을 기대해 주세요 ... ...
귀신 쫓는 퇴마사 ‘ 기싱 꿍꼬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악수를 청한다. 그런데 악수를 하느라 자리에서 일어난 퇴사마가 공중에 둥둥 떠 있는
게
아닌가!“엄마야, 썰렁홈즈 살려~!”큰 소리를 지르며 잠에서 깨어난 썰렁홈즈. 그랬다.영화를 보다가 잠이 들었던 것이다. 무안함과 두려움에 썰렁홈즈는 겨우 한 마디를 할 수 있었다.“나 꿍꼬또…, 기싱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근접 촬영한 사진을 통해 명왕성 표면에 높이가 3500m 이상인 얼음산이 있는
게
밝혀졌어요.지금도 뉴호라이즌호는 1초에 약 2000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으며, 남은 16개월 동안 계속해서 명왕성에 대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예정이에요. 뉴호라이즌호가 밝힌 명왕성의 비밀은 ... ...
장님 물고기는 먹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그러면 3개월을 굶어도 끄떡없죠.최근 하버드의대 클리포드 타빈 교수팀은 우리가 이렇
게
많이 먹어둘 수 있는 이유가 ‘체중 유지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배부름을 모르는 내가 당신의 지구 정복 파트너가 된다면 당신의 식량이 남아나질 않을 ... ...
과학과 요리의 만남 분자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요리와 과학. 이 두 단어가 만나면 어떻
게
될까요? 요즘은 이 둘이 만난 ‘분자요리’가 대세래요. 요리에 들어가는 재료의 특징을 과학적 ... ‘공부’가 자격요건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리사가 되고 싶은 친구들은 다양하
게
공부해야 해요. 지금은 학교 공부부터 열심히 해야 하겠죠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좌우하고 있는 대단한 생물이지? 내 5년의 항해 덕분에 플랑크톤에 대해 알릴 수 있
게
되서 정말 기뻐. ‘타라’의 여행은 끝났지만, 또 다른 탐험선이 계속 플랑크톤을 찾으러 갈 거야. 그 배에는 친구들도 타지 않을래? 친구들이라면 분명 더 멋진 플랑크톤을 찾을 수 있을 거야~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여름이 되면 큰 소리로 노래를 하는 매미는 우리에
게
매우 익숙한 곤충이에요. 그런데 최근 도시에서는 매미가 여름밤을 시끄럽
게
만드 ... 따른 서식지역에 대한 다른 가설도 검증해야 해요. 하지만 요즘 매미가 도시에서 요란한
게
우리 인간들의 활동 때문인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랍니다 ... ...
커브볼을 치기 어려운 건 뇌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같았어요. 우리 뇌가 이미 내비
게
이션이 사용하고 있는 복잡한 계산 방식을 따른다는
게
밝혀진 거예요.권 교수는 “커브볼 착시는 우리 뇌의 착각이 아니라 뇌가 정상적으로 일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어요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