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식물은 평화와 안식의 상징이고, 그것이 우리가 종종 식물들을 부러워하는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식물도 동물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골머리를 앓는다. 전략을 짜고 남을 무찌르고 커가는 일 모두, 씨가 움튼 그곳에서 시작된다. 그 핵심전략을 살펴봤다. 전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번 화에서는 협력의 공식을 유도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유전적 근연도’를 다룬다. 그 동안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다면,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이해해보자.대학교 4학년 때였다. 필자는 사회생물학을 연구하는 최재천 교수님 실험실에 소속돼 있었다. 구내식당에서 한 후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거대해질 대로 거대해진 도시. 하지만 도시도 수명이 있고, 미래의 건축물을 위해, 혹은 녹색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언젠가는 해체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초고층 건물들과 교량, 터널 등 메가 스트럭처를 철거하는 게 우선. 입이 떡 벌어질 만큼 거대한 이 건축물들을 어떻게 철거할까.63빌딩을 없앤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돌아가시기 며칠 전, 갑자기 정신이 맑아지신 외할머니가 자식들을 불러 손녀들의 몸무게를 물어보셨다. 그리고 은경에게 유품으로 체중계를 남기셨다.“애지중지하시던 건가요?”“아니, 창고에 처박혀 있던 건데.”“그럼 이걸 왜 저한테 주신 거예요?”영문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받았으니 다 ... ...
- [지식] 인생은 게임이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요즘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고민거리가 있나요? 연애부터 진로, 친구 사이 문제까지 여러분의 온갖 걱정을 게임이론으로 해결해 드립니다. 사기 아니냐고요? 이 이론으로 노벨상까지 받았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고민도 수학 문제로 보는 저 존 내시가 여러분의 고민에 제동을 팍팍 걸어드리겠습니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클래스팅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유명한 신사동 가로수길 한복판에 있다.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 회사가 있다 보니 찾느라고 조금 길을 헤맸다. 회사 건물의 모습이 마치 카페 같아서 더 그랬다.안내를 받아 들어간 회사의 내부는 겉모습만큼이나 신선했다. 가정집이었던 곳을 사무실로 바꿔서 ... ...
- [수학동아클리닉]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등식 도미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한 단원을 마치는 일은 산을 하나 넘은 것과 같다. 산을 하나 넘었으면 적당히 쉬고 중간 점검도 하면서 다음 산을 넘을 준비를 해야 하는 법. 도미노 활동을 하면서 즐겁고 알차게 부등식 단원을 마무리해보자. 도미노 활동을 통해 일차부등식과 연립부등식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 연습을 ... ...
- [과학뉴스] “또렷하게 보려고” 눈 굴리는 갯가재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갯가재(mantis shrimp)를 비롯한 구각류 동물은 특이한 눈을 가지고 있다. 양쪽 눈을 따로따로 움직이는가 하면, 눈알을 비스듬히 기울이거나 굴리기도 한다.영국 브리스톨대 일세 데일리 연구원팀은 이것이 갯가재가 눈을 굴려 편광을 인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자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파충류는 지난 3억1000만 년 동안 온갖 다양한 모습으로 지구 곳곳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 긴 역사가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 서식지 파괴와 밀렵 때문에 수많은 파충류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정부와 단체의 보호를 받으며 살아가는 종류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 ...
이전3193203213223233243253263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