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독보적인 군사대국인 미국 이외에 지구를 정복할 수 있는 집단이 있다면 그건 바로 GMO 기업.” 우스개 소리처럼 들릴 수 있지만 허무맹랑한 소리가 아니다. 실제로 GMO 회사들에 ... 가만히 있다면 우리는 식량 후진국의 위치를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힘
주어 말했다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두 팔과 손을 위해 많은 요소를 고려했다. 선외활동복(EMU)에 착용하는 장갑은 적은
힘
으로 물체들을 잘 집을 수 있게 설계돼 장시간 작업할 때도 우주인들이 팔과 손에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 ISS의 차가운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다 보면 손가락의 열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장갑 속에는 따뜻한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신선한 산소를 공급한다. 정성을 다해 알을 보호하던 암놈은 새끼가 부화할 때쯤이면
힘
을 잃고 죽어간다. 오늘날 문어가 이토록 번성하게 된 이면에는 지극한 자식사랑이 있었던 것이다. 기껏 소개해 놓고 괜스레 문어 먹기가 미안해진다. 문어대가리의 비밀 “배와 장이 머리 속에 있고, 눈은 목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양 끝에 전압이 걸려 도선 내부에 전기장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전기장 내에서 전하가
힘
(전기력)을 받아 움직이는 현상이 전류다. 바꿔 말하면 전기장이 ‘0’인 곳에서는 전하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도체 내부에서는 전기장이 왜 0일까.순간적으로 정전기 방전이 일어날 때 ... ...
100m 달리기, 5~6초에 가능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아니라 발바닥이 땅에 닿는 시간의 문제라고 발표했습니다. 최고의 육상선수가 최대
힘
으로 땅을 박차는 시간은 20분의 1초도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더 빨리 달리기 위해선 땅에 닿는 시간을 줄여야 하는데, 사람의 근육이 그만큼 빨리 수축하지 못합니다.연구팀은 근육이 최고로 수축하는 데 걸리는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운 장미란 선수가 하는 역도도 키가 작을수록 들어 올리는 높이가 상대적으로낮아
힘
을 덜 써도 된대. 김연아 누나가 멋진 연기를 펼치는 피겨스케이팅은 또 어떻구? 키가 작고 다리가 짧을수록 무게중심이 낮아 다양한 기술을 펼치기 더 좋단다.세상에는 키가 큰 사람도 있고, 작은 사람도 있어. ... ...
빌딩만 한 파도도 피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속도가 느려지면 파도가 출렁이는 거리도 짧아지죠. 그러면 파도가 겹치면서
힘
이 세져요. 또한 파도의 높이는 수심과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얕은 바다에서 파도는 높아져요.수심 × 파도의 높이 = k (k는 일정한 값)k가 일정하므로 수심이 얕을수록 파도의 높이가 커요. 해안가에서 10m가 넘는 ... ...
[새학기 특별 보너스] 새학기 증후군?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게 두려워질 수가 있어요. 그럴 때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게 좋아요. 하지만 왕따도 혼자
힘
으로 극복할 수 있어요. 먼저 자기가 왜 왕따를 당하는지는 분석해야 해요. 친구들이 나의 어떤 점을 싫어하는 지 알아보고, 다른 아이들의 관심사에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 보는 거예요. 친구에게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찰스와 시계공장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프랑스에서 네로울프와 함께 무고한 시민을 죽인 코사노스트라 일당을 잡기 위해 온
힘
을 쏟는다. 그 결과 사건에 연루된 일당을 소탕하지만, 코사노스트라 일당은 허풍과 도형에게 복수의 칼을 간다. 한편 허풍과 도형은 코사노스트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오랜만에 스위스에서 꿈같은 여행을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지붕에 화산재가 쌓이면서 무게를 이기지 못해 집이 무너지기도 합니다.거대한 자연의
힘
앞에 서면 인간은 여전히 작기만 해요. 하지만 자연의 움직임을 조금이라도 미리 알아 낸다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어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자연의 작은 움직임을 알아 내는 데는 수학이 큰 역할을 하고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