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스페셜
"
새로운
"(으)로 총 3,2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이후 반도체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다른 어느 분야의 기술보다도 빠른 진보를 보인 반도체 분야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히 계속됐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주창한 것으로 ‘반도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표명한 바 있다. "생각이 바뀌지 않으면 세상도 바뀌지 않는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새로운
시각으로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의 탄생이 과학기술계와 우리나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한다 ... ...
창조경제의 전초기지 대덕연구개발특구 화합 한마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 “이를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우리나라 R&D 허브로서 우수한 연구인력 등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조경제 실현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드리며,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내는 다양한 분자들의 냄새는 필자의 기억에 아련히 남아있다. 중수소로 치환돼
새로운
뉘앙스를 띠게 된 싸이클로펜타데카논의 향기를 꼭 한 번 맡아보고 싶다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있었다. 이 방문으로 TDMA 기술을 어떻게든 확보하려던 ETRI의 분위기기 급반전한다.
새로운
무선통신방식을 간절히 원했지만 GSM을 포함한 TDMA 진영으로부터 찬밥 취급을 당한 ETRI, 통신 기술은 개발했지만 시스템이 없어 상용화를 못하던 ETRI는 이해관계가 서로 맞아떨어졌다. 퀄컴은 CDMA 시스템을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양자 결맞음에 따라 파동처럼 전체 깔때기에 퍼져 순식간에 반응중심으로 흘러들어가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안했다(2). - 강석기 제공 이언 매큐언은 이 소설을 쓰기 위해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물리학자 그레엄 미치슨 교수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사실 매큐언이 소설을 구상하게 된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기존 이론에 따르면 양전자의 비율은 에너지가 높을수록 떨어져야 한다. 논문에는 ‘
새로운
물리 현상’이라는 정도로 썼지만 연구자들은 이런 여분의 양전자가 암흑물질에서 비롯된 게 아닌가 하고 기대하고 있다. 즉 유력한 가설에 따르면 암흑물질은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WIMP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년이 걸리고 1조원을 투자해야 한다. 그런데 제약사들이 이미 안전성 임상을 마친 약물은
새로운
용도만 찾기만 하면 신약으로 출시되는데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현재 제약업계는 이런 실패작 약물을 3만 여 가지나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약물 재활용에 기대를 거는 또 하나의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생물다양성 세계지도에 작은 점을 찍는데 불과했다. 반대로 우즈의 고세균 발견은
새로운
대륙을 발견한 것과 같다.” 이렇게 좋은 말로 시작하지만 곧 본색이 드러나 “여기서 우즈가 생물학자로 교육을 받지 않았고 따라서 분류의 원리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소비를 기준으로 해야 하고 하루빨리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주에너지원을 바꿔야하고
새로운
에너지 기술을 개발할 수 있게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 ‘네이처’ 1월 3일자에는 기후변화를 늦추는데 기술보다는 정책이 더 중요하다는 맥락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21세기 동안 온도상승(산업혁명 이전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