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기자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큰 비눗방울 을 만들 수 있을까요? 기자들은 옷걸이
모양
의 쇠봉과 도르래를 이용해서 가장 큰 비누방울 벽을 만드나 시합을 하였습니다. 천천히 도르래를 내리면서 아슬아슬 터지지 않게 비눗방울 벽을 만들었습니다. 비눗방울 막에 비치는 무지갯빛이 너무 ... ...
뒤죽박죽 백설공주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들어 있는 사과 중에서 ○표를 한 사과가 독사과다.세 번째 문제의 정답앞에 놓인 모자의
모양
을 하나씩 비교해 보면서 맞춰 보자. 여섯 번째 난쟁이의 모자는 없다. 정답은 ⑥번.네 번째 문제의 정답정답은 아주 간단하다. 네 명의 왕자 중에서 세사람은 거짓말을 하고 한 사람만 참말을 한다고 했다. ... ...
궁궐의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이루고 있었다고 합니다. 궁궐 안의 모든 건축물도 위에서 보면 균형 잡힌 직사각형
모양
을 갖고 있지요. 이렇게 균형과 비례를 중요하게 반영한 것은 궁궐이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바른 정치를 펼치려는 왕권의 상징이었기 때문이랍니다. 궁궐에 있는 건물들의 이름도 하나하나 살펴보면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08
있는 부생식기에 갖다 대며 짝짓기가 이뤄진다. 이런 모습을 옆에서 보면 마치 하트
모양
을 닮았다. 하지만 꼬마잠자리는 워낙 작아서인지 하트보다는 삼각형에 가까운 모습이다. 암컷이 물 속에 낳은 알은 부화해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지낸다. 우화(羽化)는 습지에서 자란 풀줄기 바로 위에서 하기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08
화소마다 전자총이 하나씩 있어 각각의 전자들을 제어할 수 있고, CRT에 쓰는 긴 튜브
모양
유리관이 필요 없어 TV를 얇게 만들 수 있다.최근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도 있다. 형광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현상을 이용한다. OLED는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하고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08
배에는 커다란 종을 매달아 물속에 넣어두고 나머지 배에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깔때기
모양
의 원통을 설치했다. 그리고 종을 치는 것과 동시에 화약을 터뜨려 불꽃을 만들고 다른 배에서는 이 불꽃을 보는 순간부터 종소리가 들리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비록 원시적인 실험방법이었으나, ... ...
시간의 흐름 속에 탄생한 생명의 신비를 느끼자
과학동아
l
200608
아까운 야외놀이터자연사박물관은 학습의 공간이지만 즐거운 놀이터도 될 수 있다. 공룡
모양
으로 만든 대형 미끄럼틀과 박물관 테라스에서 위엄을 드러내고 있는 티라노사우르스 모형(사진), 그리고 그 옆에 있는 미로공원도 놓치지 말자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08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이다함교(bridgefin)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
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밖에 내어 사용한다 잠수함은 물 속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수상함정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다함교에 있는 ESM은 적이 레이더로 탐지하고자 할 때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08
한다.해외에 한국 음식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소비문화에 맞도록 제품의
모양
과 크기, 포장을 조절하는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단순히 직접 수출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현지에 농장과 공장을 세우고 생산한 농산물로 음식점이나 식품점, 체인점을 경영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현지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08
여전히 소리를 냈다. 철제 단검은 크기가 작고 칼날 끝이 둥그스름했다. 정석배 교수는 “
모양
으로 보아 공격용이라기보다는 의료용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모호한 사방 5000 리당시 발해의 뿌리를 취재하던 필자의 눈에 들어온 유물은 토기였다. 특히 고구려계 발해 토기, 발해 토기, 말갈계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