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한 물리학자가 대중 강연 자리에서 “미적분을 알면 세상이 달라 보입니다”라고 말하자, 사람들의 눈빛이 반짝였다. 수학에는 거의 문외한에 가까운 평범한 직장인과 주부, 할머니, 학생들이었다. 그들은 다짜고짜 그 물리학자에게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가르쳐 달라고 말했다. 이종필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친구들, 안녕~! 다들 내가 누군지 알고 있지? 사람들은 나를 ‘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이라고 부르더군. 허허! 내 입으로 말하려니 쑥스럽네~. 아무튼 내가 이렇게 미래로 온 데에는 다 이유가 있어. 사실 내가 연구용으로 뇌를 기증했거든. 내 뇌로 무슨 연구를 하고 있는지, 또 ...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네가 게임 줄거리를 적어.”“일단 공책에 정리한 다음에 한꺼번에 판넬에 옮기자.”지난 7월 11일 새롭게 출발한 게임카페 1기 참가 독자들이 첫 수업을 위해 모였습니다. 메르스 사태 때문에 한 달이나 늦게 시작한 탓인지 평소보다 더 열의에 넘쳐 있었지요.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님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위 초은하단들이 모두 ‘거대한 끌개(Great Attractor)’라는 이름이 붙은 아벨 3627(왼쪽 사진➍) 쪽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함께 움직이는 초은하단 무리를 라니아케아 초은하단(Laniakea Supercluster)이라고 부르고 있다. 처녀자리 초은하단을 3차원 공간에 묘사한 사진. 우주의 구조가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너무 크고 무겁기만 한데 휴보는 크기도 적당하고 강력해서 좋다”면서 휴보와 기념사진을 찍고 갔다. 일본이나 미국 전문가들도 “이젠 한국도 강력한 경쟁상대”라는 말을 공공연하게 했다.로봇기술 혁신 이뤄낸 대회“지금 농담하는 것 아니야? 이게 된다고?” 2012년 DRC 공고가 처음 나왔을 때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서호주. 지난 5월 그곳을 탐사한 과학작가 김지현 과학동아 별학교장과 김병수 박사가 사진과 글을 보내왔다. 서호주의 지형과 하늘을 2회에 걸쳐 시리즈로 소개한다.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태초의 모습은 수십억 년 동안 이어진 침식과 판의 운동에 의해 지표면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몇 군데는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다양한 패턴 인식 서비스를 구현해 서비스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사진을 업로드하면 사진에 나온 사람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해 쉽게 태그할 수 있도록 추천해준다. 애플의 인공지능 비서 ‘시리’는 수 년간 사람의 대화 데이터를 학습한 결과 이제는 “내 여자친구가 되어줘”라는 질문에 “친구로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것을 정보의 ‘병렬 처리’라고 하는데요. 여러분이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는 사진을 전송할 때 이것을 여러 개의 픽셀로 쪼개 정보를 하나씩 처리합니다. 그런데 광컴퓨터는 모든 픽셀 정보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방금 한 분이 광컴퓨터를 어디 가면 살 수 있냐고 질문을 주셨어요. ... ...
- 마법의 생물, 달팽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자연사진작가 비아체슬라브 미센코는 달팽이를 '마법의 생물'이라고 표현한다. 부드럽고 고무줄 같은 몸만 신기한게 아니다. 감탄스러운 행동에도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다. 천장에 붙어서 거꾸로 움직이는가 하면, 몸을 길게 늘어뜨려 먼 거리를 훌쩍 뛰어넘기도 한다. 무거운 집을 매달고 있는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동원해 정밀하게 다시 조사했다. 시야가 좁은 4인치 렌즈로 측정한 결과는 약 1.90초, 천체사진렌즈의 결과는 약 1.55초로 분석돼 아인슈타인이 옳았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1919년의 결론은 분명히 성급한 면이 있었다.상대성이론은 상대주의?실증에만 우여곡절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해석하고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