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2015.01.12
- 메모리 소자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2014년 12월 16일자에 실렸다. 키토산은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소재라 전자소재는 물론 식품포장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 데일리는 스페인 바스크대 연구팀이 어린 ...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2015.01.11
- 이유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서 3차원 나노구조를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다. 그동안 3차원 나노구조는 3D프린터를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이 주로 연구됐는데, 이 방법은 잉크로 쓸 수 있는 재료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공동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과 유기물 등 소재에 재한 없이 ...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2015.01.11
- 한 것이다. 풀러렌은 탄소원자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모인 것으로 지름이 1나노미터(1nm=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그래도 물리학자 입장에서는 고양이만큼이나 크다. 실험의 결론은 간단하다. 이런 거대 분자도 파동성을 보인다. 즉, 여러 개의 줄무늬가 나온다는 말이다. 차일링거는 분자의 크기를 ... ...
- 이번엔 무슨 그래핀? ‘포스트 그래핀’!2015.01.09
- - 연세대 화학과 제공 국내 연구팀이 ‘포스트 그래핀’이라 불리는 2차원 단일층 나노물질을 쉽고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천진우 연세대 화학과 교수팀은 강도와 유연성이 모두 뛰어난 새로운 반도체 신소재인 2차원 금속 칼코겐을 25도에서 고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탠덤 ... ...
- LED가 조명인줄만 아셨던 분, 이것 좀 보세요!2015.01.09
- 침투할 수 있는 거리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세포에 따라 조금 차이는 있지만 파장이 4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보랏빛은 1mm까지만 침투하고, 630~640nm의 붉은빛은 2cm까지 침투할 수 있다. 결국 목표로 하는 세포조직까지 원하는 파장의 빛을 보내는 것이 광 치료의 핵심이다. 최근에는 ...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2015.01.07
- 1월 수상자로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조 교수는 반도체 나노구조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만 빛을 전달하는 다이오드, 초고속 단일 광자 발생기, 형광체 없이 다양한 빛을 내는 발광소자 등 기존 방법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신개념 광원과 광제어 기술을 독창적으로 ... ...
- [CES 2015]삼성전자, 최적화된 미래 가전 제시동아닷컴 l2015.01.06
- 것”이라고 말했다. ○초월적 화질콘텐츠 ‘SUHD TV’ 삼성전자는 이날 무대에서 독자적인 나노 소재를 적용한 패널과 강화된 ‘SUHD 리마스터링’ 화질엔진, 최적화된 콘텐츠로 진정한 UHD TV 경험을 전달할 88형 ‘SUHD TV’를 공개했다. 극한의 명암비, 기존 TV의 2.5배 밝기, 64배 이상의 세밀한 색상으로 ... ...
- 미래형 초정밀 반도체 개발위한 이론적 기틀 닦았다2015.01.05
- 현재보다 더 정밀하고 촘촘한 반도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과학적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규명해냈다. 이미 한계에 도달한 반도체 ... 지원사업(IPCC)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연구성과는 나노과학 분야에서 국제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20세기 최고의 물리학 이론은?2015.01.02
- 전 학문 분야에 실질적인 영향을 준 것은 양자역학”이라고 해석했다. 국형태 가천대 나노물리학과 교수(한국물리학회 부회장)는 “1위가 엇갈리긴 했지만 일반인의 투표 결과가 전문가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 것은 현대과학의 성과가 사회 전반에 상당히 잘 알려져 있음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2015.01.01
- 깃털이나 모포나비 날개의 진짜 빛깔은 청색이 아니라 투명하다. 공작새의 깃털에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지름에 수백 nm 길이의 투명한 단백질이 층층이 쌓여 있는데 여기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총천연색으로 분리된 뒤 청색만 외부로 반사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화려한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