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723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주위를 도는 위성의 원동력은?
2015.06.07
장치처럼 표현했다. 금색 톱니 위에 있는 가장 큰 천체는 얼마 전
태양
계 행성에서 퇴출된 명왕성이고, 명왕성 옆으로 나란히 있는 천체는 명왕성의 거대 위성으로 알려진 ‘카론(Charon)’이다. 나머지 4개는 명왕성의 위성으로 알려진 ‘스틱스(Styx)’ ‘닉스(Nix)’ ‘케르베로스(Kerberos)’ ... ...
[재난로봇 올림픽, 최종 리허설] 한국로봇 우승 가능성 한층 더 커졌다
2015.06.05
날 열릴 실제 본선대회에서 가장 마지막 순서로 시합에 응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바람이나
태양
빛의 변화, 각종 도구의 위치 등 그날그날 미묘하게 바뀌는 시합 환경에 맞춰 로봇을 미리 점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훨씬 유리하다. 자동차 시합에서 예선 점수가 높을수록 앞 자리에서 출발 할 ... ...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05.27
학자들은 외계인이 이 책을 만들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책에는 지구를 비롯한 행성이
태양
주변을 도는 그림과 식물을 특징에 따라 분류해 놓은 그림, 인체 기관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그림이 잔뜩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찾아온 외계인들이 지구를 몰래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새 깃털에 밀랍을 발라 만든 날개를 달고 탈출에 성공한다. 하지만 탈출 성공에 도취돼
태양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아버지의 충고를 잊고 높이 날다가 에게해에 떨어져 죽게 된다. 아무리 좋은 기술도 ‘성공을 잊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흔히 ‘이카로스의 역설’이라고 ... ...
이젠
태양
계 탐사도 5kg 소형위성으로
2015.05.22
중이다. 한쪽 길이가 10.1cm에 불과한 이 위성은 발사체에 실려 지구 밖으로 나간 뒤 소형
태양
전지판을 펼치고 내장된 배터리를 작동시켜 목적지로 날아가는 형태다. 목적지에 도착하면 서비스 모듈에서 떨어져 나온 탐사선이 행성 대기권까지 진입해 들어간다. 탐사선은 행성으로 떨어져 ... ...
‘마(魔)의 효율’ 20% 넘었다
2015.05.22
‘마의 효율’로 불리는 20%를 넘겨 효율 20.1%를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태양
전지 효율로는 세계 최고 기록을 세웠다.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 ... 안정성이 뛰어난 연료감응형
태양
전지 등이 후보로 꼽힌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는 이들 중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다.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올린 벨레프 교수팀과 공동으로 엽록소를 섞은 물컹물컹한 젤로
태양
전지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젤을 얇고 투명한 막에 발라 빛을 쪼인 뒤 엽록소에서 생겨난 전자를 모아 전기를 만들어냈다. 김은영 어린이과학동아 기자 gomu51@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낮에는 전기 만들고, 밤에는 전광판으로
2015.05.11
luminance·빛의 단위 면적당 밝기 정도)는 기존 소자보다 5배가 향상된 545cd/㎡가 됐다. 또
태양
전지 효율도 기존보다 30% 향상된 16.3%까지 높아졌다. 송 교수는 “용매 처리라는 간단한 공정만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광전소자의 효율을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가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수성의 표면 온도는 최대 430도로 새우를 튀길 때 기름의 온도보다도 훨씬 높다. 반면
태양
을 등질 때(밤)는 온도가 급감해 영하 170도에 이른다. 즉 한 지역의 일교차가 600도나 나는 셈이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인데 자전속도가 매우 느리고(약 59일) 완충역할을 할 대기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수성의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장점도 있다(즉 대사량이 낮다). 이들이 사용하는 거의 모든 에너지는 햇빛, 또는
태양
에 의해 따스하게 덥혀진 암석으로부터 온다. 덕분에 내온성 동물보다 에너지를 최대 30배나 절약할 수 있다. 에너지 절약이 잘 감이 오지 않는다면 식사량을 비교해 보면 쉽다. 내온성 동물 중 가장 큰 육상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