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뉴스
"
분석
"(으)로 총 16,622건 검색되었습니다.
튀긴 음식이 암 위험을 높이는 이유…음식 'DNA'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4
불판에서 20분간 구운 다음 이들 식재료에 담긴 DNA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했다.
분석
결과 모든 식재료에서 DNA 손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하게 나타난 손상은 DNA를 구성하는 주요 염기인 사이토신이 다른 염기인 유라실로 변화한 것이었다. 또 다른 주요 염기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물론 젊은 시절에는 별문제가 안 되지만(완전 채식을 하면 체내 농도가 20% 정도 낮다는
분석
결과가 있다) 중년 이후에는 완전 채식이 타우린 부족을 심화시켜 노화를 앞당길 수도 있다. 잡식을 하는 사람들도 보통 나이가 들수록 식사량이 줄고 고기를 덜 먹는 경향이 있어 음식으로 섭취하는 ... ...
[과학게시판] 양자 기술이 가져올 미래, 과기정통부가 시민 여러분의 의견을 듣습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14
맞는 이번 경진대회는 DATA 및 AI 기반의 과학,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연구데이터
분석
·활용 사례 발굴과 D.N.A.(Data, Network, AI)의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개최된다.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한양대와 공동으로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제10회 아시아-태평양 수송 그룹 회의(APTWG)'를 서울 ... ...
"하루 와인 한잔, 심장질환 예방엔 도움...암 위험은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6.13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754명의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를
분석
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술을 마시는 동안 외부의 위협적인 자극에 대한 뇌의 편도체 반응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뇌 측두엽 피질 내측에 위치한 편도체는 공포와 공격성과 같은 감정을 처리하는 ... ...
‘사람의 폐’ 닮은 센서로 미세먼지 주범 ‘이산화질소’ 실시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6.13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표면적뿐만 아니라 빠른 기체 교환에서도 탁월한 강점이 있다.
분석
결과 기존의 이산화질소 센서와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수준의 검출한계인 0.168 ppb(농도의 단위, 1ppb)와 가장 빠른 반응 시간 15초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 센서는 레이저 공정을 이용했기 ... ...
비만·당뇨 예방하는 '갈색지방' 기능 저하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증가하는 것이 관찰돼다. 이 효소들은 갈색지방세포의 지방축적을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
됐다. 연구팀은 백색지방세포나 백색지방에서 생성되는 또 다른 갈색지방세포인 베이지색지방세포에서는 열 생성 저하 조건에서도 시-키트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혔다. 연구팀은 “이는 ... ...
‘한국 면적 40%’ 태운 캐나다 산불…"매년 반복될 '뉴 노멀'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의견을 전했다. 이 밖에 노후화된 송전선과 낙뢰방지 설비의 미비도 산불의 원인으로
분석
됐다. 이번 캐나다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 대부분은 낙뢰로 발생했다. 미국에선 낡은 송전선이 대규모 화재로 이어진 사례가 빈번하다. 전문가들은 안전설비의 경우 인간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 ...
"타우린 보충제, 동물들 수명 늘리지만 사람에겐 불분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관찰했다. 사람으로 치면 체중 80kg 성인이 매일 에너지드링크 3~6캔을 마신 정도다.
분석
결과 타우린을 섭취한 암컷 쥐는 대조군 대비 수명이 12% 증가했다. 수컷 쥐 실험에서도 타우린 섭취군이 대조군보다 수명이 약 10% 늘어났다. 또 타우린을 섭취한 쥐는 신체기능이 강화되기도 했다. 지구력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인간들의 활동이 줄어들어 동물들이 도망가는 거리가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했다. 연구팀은 봉쇄 기간 동안 야생동물의 이동거리가 증가한 것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모두 있다고 결론내렸다. 좁은 서식지로 내몰렸던 야생동물들의 활동반경이 넓어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동시에 ... ...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23.06.10
찾음으로써 학문과 문화의 역량을 키우자는 생각이었다. 석주명은 한반도의 나비를
분석
하는 데에서 출발해 나비와 관련된 역사 기록을 연구하고 나비를 부르는 각 지역 방언 이름을 수집하고 비교했으며 한국 나비에 순우리말 이름을 지어줬다. 그가 직접 짓거나 정리한 248종의 우리말 나비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