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어떻게 보아야 할까. 아무런 장비가 없는 경우라도 일단 새벽에 일어나 달을 쳐다
보자
. 달 옆에 밝은 별 하나를 볼 수 있다. 이 밝은 별이 바로 토성이다. 이를 눈여겨보고 있으면, 점차 토성이 달에 접근함을 알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토성이 달에 붙고 어느 순간 한줄기 빛을 남기고 달 뒤편으로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여러가지인 것이 특징이다. 다채로운 별똥별을 바라보며 마음 깊이 간직한 소원을 빌어
보자
. 별똥별 관측은 이렇게째깍…째깍…. 움직이는 시계 초침을 주의깊게 보면 1초가 꽤 길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빨리 말하면 스무글자도 말할 수 있는 시간이다.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는 열글자로 된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SPM으로 어떤 작품을 만들었을까.SPM으로 드러나는 환상적인 나노의 모습을 슬쩍 엿
보자
.3차원의 화려한 SPM 영상이 모습을 드러내기까지의 과정이 그리 간단하지 않다. 단순히 SPM 탐침이 지나간다고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우성 SPM의 탐침이 물질의 표면을 지나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능과 창의성을 높이는 교육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지능검사를 만나
보자
.과학기술부는 9월 19일 올해 안으로 16개 과학고등학교 가운데 2곳을 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과기부가 이날 정부 인적자원개발회의의 심의, 의결로 확정한‘과학영재학교 설치운영방안’에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한국 휴대폰 사용 40년우리나라 이동통신서비스의 초창기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 일반대중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처음 도입됐던 시기는 1961년 8월. 당시 가입자는 고작 80여명이었다. 이때의 이동전화는 일반 유선전화로 시외교환을 호출해 차량전화번호를 알리고 교환원이 선택 호출장치 ... ...
② 비행기 한대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가장 파괴적세계무역센터 건물이 붕괴될 때까지 관여한 에너지를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
보자
. 우선 어떤 종류의 에너지가 관련된 것일까. 이에 대해 모스카텔리 교수는 크게 세가지를 언급했다. 두대의 여객기가 건물까지 비행하는 과정에서 생긴 운동에너지, 항공기름이 폭발하면서 생긴 에너지,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38%에 달한다. 왜 이렇게 잦아 진 것일까. 올여름 한반도를 휩쓸었던 용오름을 집중 분석해
보자
.한반도의 기후가 변한 것은 아닐까.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토네이도가 올 여름 우리나라에서 5차례나 출몰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특히 경기도 파주의 한 마을을 휩쓸고 지나간 회오리바람은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로봇을 원하면서도 두려워하는 이유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신작 ‘A.I.’를 떠올려
보자
. A.I.는 감정을 갖고 있는 로봇을 동화적 서술방식으로 그린 영화다. 주인공 데이빗은 자식이 없는 부모들을 위해 만들어진 로봇으로, 아들이 5년째 식물인간으로 누워있는 부부에게 실험적으로 입양된다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3일부터 6일간 이어졌다. 블랙홀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생생한 현장스케치를 통해 만나
보자
.여러차례 국내외 학회를 운영하면서 한가지 소원 아닌 바람이 있었다.다름아닌 한국의 풍속화를 한번 학회 포스터로 활용하고 싶은 것. 우여곡절 끝에 이번 학회를 주관하게 됐는데, 이번 학회의 주제는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고부가가치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일상 생활에서 친숙한 음식물쓰레기 경우를 생각해
보자
. 음식물쓰레기를 별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보통 문제가 아니다. 2000년 환경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음식물쓰레기는 하루 평균 1만1천5백t이 발생하는데, 생활쓰레기 중 가장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