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바이러스도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지금까지는
기능
이 비교적 많은 MS-오피스의 매크로
기능
을 이용해 바이러스가 제작됐다. 왜냐하면 스크립트로 만들어져 바이러스 제작이 비교적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이러스에 감염된 문서 파일 자체가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 역할을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인간유전체 사업단은 너스 박사 연구실과 긴밀하게 협조해 분열형 효모 전체유전자의
기능
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이번 노벨상의 연구업적은 생명현상에 대한 분자 수준의 이해라는 오랜 시간이 필요한 생명과학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예를 들어 항암제를 개발하기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것이다. 그러나 정신분석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기억상실증이 단지 뇌 손상에 의한
기능
장애가 아니라 자신이 평소 회피하고 싶은 기억이나 정신적인 충격을 방어하기 위해 일부러 잊으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본다. ‘방어와 회피’라는 역동적 목적이 있는 능동적인 과정의 결과라는 것이다.‘롱 ... ...
왕초보자 위한 마라톤 훈련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폐
기능
을 살피는 운동부하검사나, 관절과 근육
기능
의 이상유무를 체크하는 근관절
기능
검사와 같은 사전 스포츠의학 검사를 받는 일도 좋다. 운동량, 운동빈도, 운동강도 등을 충분히 고려해 훈련에 임할 수 있어 부상방지와 체력, 그리고 기술력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효율적인 ... ...
전투복에 사용되는 첨단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최첨단 나노기술이 각종 전투장비의 개발 분야에서도 활용될 전망이다. 미군 병력시스템센터의 톰 타시나리 박사는 영국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21세기 첨단과학 ... 또한 나이키 운동화는 운동화 밑창으로 깔리는 쿠션에 나노기술로 개발한 신소재를 첨부해 쿠션
기능
을 보강한 바 있다 ... ...
언어 능력 담당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밝혔다.미국 매사추세츠대 뇌-인식과학의 스티븐 핑거 박사는 FOXP2가 인간의 언어
기능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임이 확인된다면“21세기의 첫 10년은 인식유전학의 동이 트는 10년이 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체액을 흡수·제거하거나 경직된 인체조직을 완화시킨다는 뜻이다. 또 부정배본은 면역
기능
등 인체의 자생력을 배양시킨다는 말이다. 앤지옴의 경우는 활혈화어와 부정배본의 원리에 의해 개발된 약제다.앤지옴의 힌트는 필자가 지난 1993년 중국정부의 초청으로 북경의 중국중의연구원 광안문병원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인삼, 황기, 토사자 등의 보기보양 약제를 투여해 약화된 골수를 보호함으로써 조혈
기능
을 회복시킨다. 항암제의 부작용을 한의학으로 최소화시키는 것이다.한편, 한약은 방사선에 대한 암세포의 민감성을 높여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 한약의 병용치료는 방사선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연구가 활발한 여러 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칩을 만들면
기능
을 알지 못하는 유전자에 대해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가장 기대가 되는 DNA칩의 응용분야는 유전병 진단이다. DNA칩으로 수많은 유전자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분자생물학이 출현하는데 기초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헤모글로빈의 구조와
기능
의 관계를 알아냈고 항원과 항체 분자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나아가 DNA 구조를 밝히려고 노력했다.폴링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사실 중의 하나가 바로 노벨상 2관왕, 그것도 서로 다른 분야에서 이룬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