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시작이 통나무를 굴리는 데에서 시작됐다니, 재밌지?! 하지만 바퀴의 진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야. 미래의 바퀴는 모양이 다양하게 바뀌면서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이고 있지. 공기를 넣지 않아도 되는 바퀴가 있고, 동그란 공 모양의 바퀴도 개발되고 있다고! 공기 없는 바퀴, 에어리스 ... ...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버드대와 공동으로 빛을 사용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사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세포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의 광전환 단백질을 ... ...
-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를 통해 기상 관측소 레이더에서 50km 이상 떨어진 지역의 강수량도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폭스 교수는 “기존 레이더는 거리가 멀수록 정확성이 떨어졌다”며 “농업 등 강수량이 중요한 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라고 설명했다. doi: 10.1016/j.jhydrol.2017.12.05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모기 현황은 서울시 홈페이지(health.seoul.go.kr/mosquito)에 매주 월요일 업데이트 된다. 데이터를 보면 DMS로 측정한 서울 전체의 채집모기 수가 5월 1일 1837마리에서 2주 만에 3076마리로 늘었다. 현재(6월 16일 기준)는 4746마리 수준으로 뛰었다. 유문등에 채집된 모기의 종은 빨간집모기가 가장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본격적인 신원 확인을 시작할 계획이다.발굴해야 할 전사자의 규모가 약 13만 명, 이 가운데 연간 1000여 구의 유해를 발굴한다고 할 때 이 추세로는 130년이 걸린다. 게다가 약 1% 수준인 신원 확인 성공률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10만 여 구의 유해를 보관할 거대한 시설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관찰하는 능력이 길러진 것 같다. 이런 역량들이 합쳐져 결국 레벨디자이너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됐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대학교를 졸업한 뒤 3차원 사물을 그리는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지금은 레벨디자인에 특화해 일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FPS 분야에서는 레벨디자인이 무척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경쟁해야한다는 말이다.양자역학은 확률을 예측한다. 따라서 결과는 언제나 수많은 데이터를 평균해서 얻어진다. 원자나 광자 한 개를 다루는 실험을 여러 번 하다보면 전자나 광자를 놓치기 십상이다. 100개의 광자를 보내더라도 일부는 관측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하필 이상한 녀석들만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VR)과 증강현실(AR) 시장이 커지면서, 기존 디스플레이로는 사실적인 장면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마이크로 LED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애플, 페이스북, 구글 등 세계 주요 IT기업들은 마이크로 LED 전문기업을 인수하거나 투자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LED 제품의 상용화는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원이 불균등하게 분배되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도 공간 불평등 문제가 나타나는데, 이는 과거 성장 거점 개발 추진, 196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산업화가 대표적인 원인이다. 이로 인해 도시 지역으로 인구 및 산업 시설이 지나치게 집중되고, 촌락 지역은 인구의 지속적 유출 및 지역 경제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터득하게 돼요. 또 최대한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 역시 분리불안을 교정하는 데 도움이 돼요. 항상 같은 시간에 밥을 주고, 놀아 주고 산책을 시키면 매일 똑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는 것을 인지해 불안을 덜 느낄 수 있답니다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